[사설] 괴담과 선동으로 뒤범벅인 SNS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무상급식과 서울시장 선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 수많은 사회적 논란을 거치면서 SNS의 파워가 주목받고 있다. SNS는 점점이 흩어져 있는 고독한 개인들을 연결해주고 인터넷에서 자유로운 소통 공간을 만들어 낸다는 측면에서 그 긍정적 기능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유독 한국에서는 마치 판도라의 상자에서 쏟아져 나오는 독소들처럼 사회의 소통구조를 오히려 마비시키며 퇴화시키고 있다.
SNS는 이론적으론 활짝 열린 민주적 공간이다. 접근성이 높고 소수자의 억눌린 의견도 자유롭게 표출된다는 점에서 미디어의 신기원이란 기대도 받고 있다. 그러나 실제론 극소수 전문 선동꾼들이 점령하고 있다. 광우병 사태 당시 다음의 아고라도 극소수의 사람이 하루 수백건의 글을 올리면서 허위사실을 유포했던 것과 다를 바 없다. 대중이 스타에 몰리듯 팔로어가 쏠려다니며 자유 아닌 예속과 우민화의 공간인 것이다. 대중은 루머와 괴담을 퍼나르고 확대재생산하는 역할을 무의식적으로 떠맡고 있다. 자유로워야 할 SNS 공간에서 오히려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조사 결과도 그래서 나온다.
SNS에 구조적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미지 중심의 지식은 진정한 소통의 도구가 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실제로 단순한 메시지 외에 논리적 사고가 파고들 틈이 없다. 이런 형식은 즉시성(卽時性)이라는 SNS의 또 다른 특징과 맞물리면서 수용자들이 시간을 두고 검토하거나 비판할 정신을 마비시킨다. 게다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과만 소통하는 까닭에 집단논리가 확대강화된다는 특징도 보인다. 검증을 거친 정보가 아니라 선동이 난무하는 소위 ‘디지털 포퓰리즘’은 이렇게 탄생하고 있다.
일부 현직 판사들이 SNS를 통해 한·미 FTA 국회 비준에 대한 비난에 가세하자 엊그제 대법원 공직윤리위원회가 나서 자제를 권고했다. 사회 질서를 최종적으로 판단해야 할 판사들까지 SNS 괴담에 가세하고 있는 꼴이다. 밀실과 광장을 구분하지 못하는 시대다.
SNS는 이론적으론 활짝 열린 민주적 공간이다. 접근성이 높고 소수자의 억눌린 의견도 자유롭게 표출된다는 점에서 미디어의 신기원이란 기대도 받고 있다. 그러나 실제론 극소수 전문 선동꾼들이 점령하고 있다. 광우병 사태 당시 다음의 아고라도 극소수의 사람이 하루 수백건의 글을 올리면서 허위사실을 유포했던 것과 다를 바 없다. 대중이 스타에 몰리듯 팔로어가 쏠려다니며 자유 아닌 예속과 우민화의 공간인 것이다. 대중은 루머와 괴담을 퍼나르고 확대재생산하는 역할을 무의식적으로 떠맡고 있다. 자유로워야 할 SNS 공간에서 오히려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조사 결과도 그래서 나온다.
SNS에 구조적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미지 중심의 지식은 진정한 소통의 도구가 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실제로 단순한 메시지 외에 논리적 사고가 파고들 틈이 없다. 이런 형식은 즉시성(卽時性)이라는 SNS의 또 다른 특징과 맞물리면서 수용자들이 시간을 두고 검토하거나 비판할 정신을 마비시킨다. 게다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과만 소통하는 까닭에 집단논리가 확대강화된다는 특징도 보인다. 검증을 거친 정보가 아니라 선동이 난무하는 소위 ‘디지털 포퓰리즘’은 이렇게 탄생하고 있다.
일부 현직 판사들이 SNS를 통해 한·미 FTA 국회 비준에 대한 비난에 가세하자 엊그제 대법원 공직윤리위원회가 나서 자제를 권고했다. 사회 질서를 최종적으로 판단해야 할 판사들까지 SNS 괴담에 가세하고 있는 꼴이다. 밀실과 광장을 구분하지 못하는 시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