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불만 최다 이통사 'LGU+'…100만명당 7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비자불만이 가장 높은 이동통신사는 LG유플러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1일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이동전화서비스 관련 소비자 피해구제 건수가 전년동기대비 약 23%(62건) 증가한 335건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동통신사별 피해구제 접수건수를 가입자 100만명당 건수로 환산한 결과, LG유플러스가 7.1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KT 6.3건, SK텔레콤 4.2건의 순이었다.
피해구제 접수 후 소비자원의 합의권고로 처리된 피해구제율은 KT가 65.4%로 가장 높았다. LG유플러스는 59.1%, SK텔레콤는 51.8%로 그 뒤를 이었다.
피해유형별로는 가입조건으로 단말기 무료, 사은품 제공, 위약금 대납 등을 약정한 후 이를 이행하지 않는 '약정불이행'이 21.5%(72건)로 첫손에 꼽혔다.
다음으로 △통화품질 미흡(20.3%,68건) △부당요금 청구(16.1%,54건) △업무처리 미흡(13.1%,44건) △분실보험 분쟁(11.6%,39건)이 상위권에 올랐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동통신사 본사 차원에서 판매점·대리점의 관리·감독 강화 △음성 및 데이터 품질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 마련 △분실 보험의 중요 계약내용에 대한 사전 설명 및 서면통보 등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또 소비자에게는 가입 시 중요한 계약내용은 반드시 계약서에 쓰고 평소 요금 청구서를 꼼꼼히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alice@hankyung.com
한국소비자원은 1일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이동전화서비스 관련 소비자 피해구제 건수가 전년동기대비 약 23%(62건) 증가한 335건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동통신사별 피해구제 접수건수를 가입자 100만명당 건수로 환산한 결과, LG유플러스가 7.1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KT 6.3건, SK텔레콤 4.2건의 순이었다.
피해구제 접수 후 소비자원의 합의권고로 처리된 피해구제율은 KT가 65.4%로 가장 높았다. LG유플러스는 59.1%, SK텔레콤는 51.8%로 그 뒤를 이었다.
피해유형별로는 가입조건으로 단말기 무료, 사은품 제공, 위약금 대납 등을 약정한 후 이를 이행하지 않는 '약정불이행'이 21.5%(72건)로 첫손에 꼽혔다.
다음으로 △통화품질 미흡(20.3%,68건) △부당요금 청구(16.1%,54건) △업무처리 미흡(13.1%,44건) △분실보험 분쟁(11.6%,39건)이 상위권에 올랐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동통신사 본사 차원에서 판매점·대리점의 관리·감독 강화 △음성 및 데이터 품질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 마련 △분실 보험의 중요 계약내용에 대한 사전 설명 및 서면통보 등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또 소비자에게는 가입 시 중요한 계약내용은 반드시 계약서에 쓰고 평소 요금 청구서를 꼼꼼히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alic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