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수형자 DNA 시료 강제채취 적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형자가 거부하더라도 DNA 감식시료를 채취한 것은 정당하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법원이 채취의 정당성을 확인한 판결을 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2부(하종대 부장판사)는 A씨가 안동교도소장을 상대로 "DNA 감식시료 채취가 위법하다"며 낸 소송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
안동교도소는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죄 등으로 징역 2년6월을 선고받고 복역하던 A씨에 대해 지난해 12월 이른바 'DNA 신원확인법'에 따라 DNA 감식시료를 채취하려 했으나 A씨는 이를 거부했다.
이에 교도소는 법원의 채취 영장을 받아 스펀지 막대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강 시료를 채취했고, A씨는 "시료 채취가 신체의 자유와 인간의 존엄성, 행복추구권 등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을 침해한다"며 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범죄 수사ㆍ예방과 국민권익 보호라는 법의 목적이 정당하고, 채취 대상과 방식을 법으로 제한하고 있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도 지나치지 않다"고 전제했다.
이어 "교도소가 영장을 발부받는 등 정해진 절차를 준수했고. 강제 채취하는 방법도 심하게 모욕적이거나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기 어려운 정도였다고는 보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7월 시행된 'DNA 신원확인 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은 구속영장이 발부된 11개 주요 범죄 피의자의 DNA를 채취한 뒤 숫자와 부호로 조합된 신원확인 정보로 변환해 영구보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경닷컴 속보팀 news@hankyung.com
법원이 채취의 정당성을 확인한 판결을 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2부(하종대 부장판사)는 A씨가 안동교도소장을 상대로 "DNA 감식시료 채취가 위법하다"며 낸 소송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
안동교도소는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죄 등으로 징역 2년6월을 선고받고 복역하던 A씨에 대해 지난해 12월 이른바 'DNA 신원확인법'에 따라 DNA 감식시료를 채취하려 했으나 A씨는 이를 거부했다.
이에 교도소는 법원의 채취 영장을 받아 스펀지 막대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강 시료를 채취했고, A씨는 "시료 채취가 신체의 자유와 인간의 존엄성, 행복추구권 등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을 침해한다"며 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범죄 수사ㆍ예방과 국민권익 보호라는 법의 목적이 정당하고, 채취 대상과 방식을 법으로 제한하고 있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도 지나치지 않다"고 전제했다.
이어 "교도소가 영장을 발부받는 등 정해진 절차를 준수했고. 강제 채취하는 방법도 심하게 모욕적이거나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기 어려운 정도였다고는 보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7월 시행된 'DNA 신원확인 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은 구속영장이 발부된 11개 주요 범죄 피의자의 DNA를 채취한 뒤 숫자와 부호로 조합된 신원확인 정보로 변환해 영구보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경닷컴 속보팀 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