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에너지라인 '초토화'…장관 이어 차관도 사퇴
김정관 지식경제부 2차관이 9·15 정전대란 사태의 책임을 지고 5일 사퇴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식경제부 제2차관에 조석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54·사진), 중소기업청장에 송종호 중소기업진흥공단 이사장(55)을 5일 각각 내정했다. 이에 따라 최중경 지경부 장관과 염명천 전력거래소 이사장 등을 포함한 전력담당 고위 관료와 최고경영자가 모두 물러나게 됐다.

김 차관은 이날 “정전대란 발생 이후 주무부처 차관으로서 책임을 지고 그만두려 했다”며 “장관이 그만둔 이후 사퇴 시기를 고민해왔다”고 말했다. 지경부의 에너지·자원 정책을 총괄하는 김 차관이 물러남으로써 지경부 내 실무 에너지담당 라인에 대한 본격적인 징계 절차도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경부는 정전대란 사태를 수습하고 후속조치를 마련하기 위해 직접적 책임자인 김도균 전 전력산업과장 외에는 에너지 라인에 대한 문책 시점을 미뤄왔다. 하지만 조 신임 차관이 취임하면 연쇄 인사가 필요한 만큼 이에 맞춰 징계 절차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경부는 현재 장관 명의로 행정안전부 중앙징계위원회에 김 전 과장에 대한 중징계 요구를 해 놓은 상태다. 김 전 과장은 보직해임된 상태다. 중징계에는 파면, 해임, 강등, 정직 등이 포함된다.

김 차관 바로 밑에서 에너지·자원 정책을 챙겼던 정재훈 에너지자원실장은 인사전보 대상이다. 같은 직급이긴 하지만 주요 보직이 아닌 곳으로 발령 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승진 경쟁이 치열한 공무원 사회에서 경력 관리에 상당한 타격이다. 소관 국장도 인사 전보 대상이다.

순환정전 사태 당시 책임 사무관은 지경부가 행안부에 경징계를 요청했다. 경징계에는 감봉, 견책 등이 포함된다. 견책은 징계 기록과 함께 13개월간 승진 대상에서 제외된다.

조 차관은 전북 익산 출생으로 전주고와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했다. 행정고시 25회로 산업자원부 에너지정책기획관,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장 등을 지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