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뻥' 뚫린 야전부대…적군 침투에 '허둥지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특전사 요원 20여명이 적으로 가장한 대항군 역할을 맡아 불시에 일선 부태에 침투했지만 한명도 잡히지 않아 군 대비 태세에 허점이 드러났다.
합참은 6일 해당 부대들에 통보하지 않은 채 적 침투를 가상한 불시 대비태세점검을 실시했다.경기 북부와 강원도에 있는 부대에 비상이 걸린 것은 이날 오전 1시께.합참에 따르면 오전 1시께 합참의 핵심 간부와 위기조치반에 포함된 장교전원에게 휴대전화 문자로 전방지역의 한 부대에 폭발음이 청취됐다는 상황이 전파됐다.
새벽잠을 설친 장성과 장교들은 부랴부랴 합참본부로 복귀했다.춘천과철원지역의 해당 부대에서도 주요 간부와 위기조치반원들이 즉각 소집되어 대공용의점이 있다고 판단,국지도발 최고대비태세인 ‘진돗개 하나’를 발령했다.
합참은 같은 시각 일부 부대에 알리지 않은 채 적으로 가장한 대항군을 침투시켜 대비태세를 점검했다.대항군은 고도의 침투훈련을 받은 특전사 대원 20여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특정부대로 잠입해 핵심 시설을 폭파하는 것처럼 가상한 임무를 부여받았다.
대항군은 임무를 수행한 후 미니버스로 이동하면서 군 검문소를 거치지 않고 산속으로 도주한 것으로 알려졌다.철원과 춘천지역의 여러 부대와 공수부대까지 동원되어 이들을 쫓고 있으나 14시간이 지났어도 한 명도 붙잡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여러 개의 부대가 합동으로 수색을 하는데 단 한명도 붙잡지 못한것은 예상 도주로 관측 능력과 수색 작업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
합참은 6일 해당 부대들에 통보하지 않은 채 적 침투를 가상한 불시 대비태세점검을 실시했다.경기 북부와 강원도에 있는 부대에 비상이 걸린 것은 이날 오전 1시께.합참에 따르면 오전 1시께 합참의 핵심 간부와 위기조치반에 포함된 장교전원에게 휴대전화 문자로 전방지역의 한 부대에 폭발음이 청취됐다는 상황이 전파됐다.
새벽잠을 설친 장성과 장교들은 부랴부랴 합참본부로 복귀했다.춘천과철원지역의 해당 부대에서도 주요 간부와 위기조치반원들이 즉각 소집되어 대공용의점이 있다고 판단,국지도발 최고대비태세인 ‘진돗개 하나’를 발령했다.
합참은 같은 시각 일부 부대에 알리지 않은 채 적으로 가장한 대항군을 침투시켜 대비태세를 점검했다.대항군은 고도의 침투훈련을 받은 특전사 대원 20여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특정부대로 잠입해 핵심 시설을 폭파하는 것처럼 가상한 임무를 부여받았다.
대항군은 임무를 수행한 후 미니버스로 이동하면서 군 검문소를 거치지 않고 산속으로 도주한 것으로 알려졌다.철원과 춘천지역의 여러 부대와 공수부대까지 동원되어 이들을 쫓고 있으나 14시간이 지났어도 한 명도 붙잡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여러 개의 부대가 합동으로 수색을 하는데 단 한명도 붙잡지 못한것은 예상 도주로 관측 능력과 수색 작업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