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근대 회화 작품 문화재로 등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문화재청은 안중식의 ‘백악춘효’, 채용신의 ‘운낭자상’, 고희동의 ‘부채를 든 자화상’ 등 근대회화 유물 3건과 무성영화 ‘청춘의 십자로’의 원본 필름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한다고 9일 밝혔다.
‘백악춘효(白岳春曉)’는 심전 안중식(安中植·1861~1919)이 1915년에 백악과 경복궁을 그린 작품으로, 여름본과 가을본 두 점이 전해진다. 조선왕조 말기 대표적인 화가이면서 이상범, 노수현, 변관식 등 근대 산수화가들을 길러낸 안중식의 실경산수로서, 봉건적 요소와 서구적 안목이 작용한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운낭자상(雲娘子像)’은 석지 채용신(蔡龍臣·1850~1941)이 1914년에 의기(義妓) 최연홍(崔蓮紅·1785~1846)을 주인공으로 그린 그림이다. 우리나라 최초로 ‘엄마와 아기’를 주제로 그렸다.
‘부채를 든 자화상’은 춘곡 고희동(高羲東·1886~1965)이 1915년 여름날 부채질로 더위를 식히며 앉아있는 자신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가 그린 작품으로서, 인상주의 화풍을 수용한 1910년대 미술가의 정체성을 읽을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유화 작품이기도 하다.
안종화 감독이 1934년 제작한 흑백 무성영화인 ‘청춘의 십자로’는 농촌 출신 젊은이들이 서울에 올라와 도시에서 겪는 소비문화, 부적절한 남녀간의 관계, 향락적인 일상 등 삶의 단면을 그린 영화다. 국내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원본 필름이다. 이 필름은 1933~1934년경의 서울의 도시 모습, 생활사에 관한 희귀 정보를 담고 있다. 특히 여주인공 신일선(1907~1990)은 나운규 ‘아리랑’의 주연배우로 알려져 있는데, 이 영화를 통해 그녀의 연기 스타일과 존재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 등록 예고된 유물은 30일간의 예고기간과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절차를 거쳐 문화재로 등록된다.
김재일 기자 kjil@hankyung.com
‘백악춘효(白岳春曉)’는 심전 안중식(安中植·1861~1919)이 1915년에 백악과 경복궁을 그린 작품으로, 여름본과 가을본 두 점이 전해진다. 조선왕조 말기 대표적인 화가이면서 이상범, 노수현, 변관식 등 근대 산수화가들을 길러낸 안중식의 실경산수로서, 봉건적 요소와 서구적 안목이 작용한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운낭자상(雲娘子像)’은 석지 채용신(蔡龍臣·1850~1941)이 1914년에 의기(義妓) 최연홍(崔蓮紅·1785~1846)을 주인공으로 그린 그림이다. 우리나라 최초로 ‘엄마와 아기’를 주제로 그렸다.
‘부채를 든 자화상’은 춘곡 고희동(高羲東·1886~1965)이 1915년 여름날 부채질로 더위를 식히며 앉아있는 자신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가 그린 작품으로서, 인상주의 화풍을 수용한 1910년대 미술가의 정체성을 읽을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유화 작품이기도 하다.
안종화 감독이 1934년 제작한 흑백 무성영화인 ‘청춘의 십자로’는 농촌 출신 젊은이들이 서울에 올라와 도시에서 겪는 소비문화, 부적절한 남녀간의 관계, 향락적인 일상 등 삶의 단면을 그린 영화다. 국내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원본 필름이다. 이 필름은 1933~1934년경의 서울의 도시 모습, 생활사에 관한 희귀 정보를 담고 있다. 특히 여주인공 신일선(1907~1990)은 나운규 ‘아리랑’의 주연배우로 알려져 있는데, 이 영화를 통해 그녀의 연기 스타일과 존재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 등록 예고된 유물은 30일간의 예고기간과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절차를 거쳐 문화재로 등록된다.
김재일 기자 kj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