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님, 도서관 책에 다 나오는 뜬구름 잡는 얘기하지 마시고 구체적인 정책을 말씀하세요.” (청춘콘서트 참석자) “제가 뜬구름을 잡았나요. 하지만 서울시가 해줄 수 있는 건 한계가 있습니다.” (박원순 서울시장)

박 시장의 화법이 바뀌고 있다. 취임 직후엔 “문제점이 있으니 개선하겠다” “관련 부서에 지시를 내리겠다” 등 구체적이고 직설적인 화법을 구사했으나 최근 들어 발언이 매우 신중해졌다는 게 시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지난 7일 서울 영등포동 하자센터에서 열린 청춘콘서트 2.0에 참석한 박 시장은 취업난 해결을 위한 잇따른 청년들의 건의에도 즉답을 피했다. 그는 “관련 정책을 검토해 보겠다” “서울시가 모든 것을 다 들어줄 수는 없다” 등의 발언으로 일관했다. 이에 참석자들의 불만섞인 목소리가 커지자 행사 사회자였던 영화배우 김여진 씨가 “시장이 말씀하실 수 있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거들어주기까지 했다.

지난달 27일 열린 최병성 목사의 출판기념회 때도 박 시장은 역시 침묵을 지키려고 노력했다. 4대강 사업을 비판하는 책을 낸 최 목사는 박 시장에게 4대강 사업에 대한 비판 발언을 유도하려고 했지만, 박 시장은 끝까지 즉답을 피했다. ‘서울시와 별로 관련 없는 정치 공세에 몰두한다’는 비판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민감한 시정 현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박 시장은 취임 초기 “우면산 산사태는 천재지변만으로는 볼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산사태에 대한 서울시 책임론이 불거지자 지난달 말엔 “산사태 원인에 대해선 속단하기 어렵다”고 한발 물러섰다. 선거 때 실패한 사업으로 규정한 뉴타운 문제에 대해서도 주민들의 면담이 쇄도하자 “주민들과 전문가의 의견을 경청해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한발 후퇴했다.

시 관계자는 “박 시장이 취임 초기 파격·즉흥 발언 등으로 언론의 비판을 받으면서 발언이 상당히 신중해진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박 시장은 최근 공식석상에 참여할 때마다 “이 자리에 기자들이 많아서 말하기 조심스럽다”는 말을 빼놓지 않는다.

또 다른 시 관계자는 “시정을 책임지다 보니 발언이 신중해진 것 같다”며 “박 시장이 정책비판을 하던 시민운동가에서 대안을 먼저 생각해야 하는 정치인으로 점차 변신하는 과정이 아니겠느냐”고 지적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