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구석기실 신석기실 새단장 13일 개장
두 눈이 동그랗다. 점선으로 표현된 코는 일직선으로 곧다. 그 아래 동그랗게 벌린 입은 환하게 웃는 표정이다. 지난해 울진 죽변 유적에서 발굴된 신석기인의 얼굴 모양 토기다. 사람 얼굴을 형상화한 신석기 유물로는 처음 발굴된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신석기 시대 얼굴 모양 토기를 포함, 600여 점의 선사시대 유물을 처음 선보이는 등 선사고대관 구석기실·신석기실을 새 단장해 13일 관람객에게 첫선을 보인다.

이번 구석기실·신석기실 개편은 전시실 연차 개편의 일환으로, 지난 10년간 축적한 발굴자료를 바탕으로 총 1000여 점의 유물을 선보인다. 이 중 600여 점은 일반에 처음 공개하는 것이다.

선사고대관 도입부는 한반도 전체 역사와 각 관의 시간적인 범위를 알려주는 프롤로그 성격을 강화했다. 영상매체를 적극 활용해 디지털 매체에 익숙한 세대를 관람 편의를 도왔다.

구석기실은 4만년 전을 전후로 이루어지는 ‘이른 시기의 대형 석기’와 ‘늦은 시기 소형 석기’로 전시공간을 구분했다. 각 시기를 대표하는 유물을 강조하기 위해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된 주먹도끼와 주먹찌르개 50여 점을 전시했다. 특히 대구 월성 유적에서 출토된 400여 점의 작은돌날을 일괄 전시했다.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구석기실 신석기실 새단장 13일 개장
석기 제작 외에도 이동생활, 예술, 신석기시대로의 전환 등의 구석기시대 다양한 측면을 보여주는 유물을 선보인다. 일본 고유의 석기로 추정됐는데 임실 하가 유적에서도 발견된 등손잡이칼, 안료로 추정되는 장흥 신북유적 출토 철석영(鐵石英)과 남양주 호평 유적 출토 흑연, 신석기시대 유물로 여겨졌던 각종 간석기와 화살촉을 새로 전시했다.

신석기실은 ‘수렵·어로·채집과 농사’, ‘한반도 각 지역의 토기’, ‘정신세계와 예술’로 세 개의 전시공간으로 나눴다. 특히 어로문화를 집중 조명했다. 높이 3m에 이르는 부산 영도구 동삼동 유적 조개무지 토층과 고래잡이 증거로 여겨지는 작살 꽂힌 고래 뼈, 창녕 비봉리에서 출토된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배와 노 등을 전시했다.

또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 토기 70여 점을 함께 전시, 이 시대 토기의 다양한 형태와 문양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신석기시대 최대 무덤인 부산 가덕도 유적 41호 출토 인골, 신석기인의 웃는 얼굴을 표현한 울진 죽변 유적 출토 토기 등 최신 발굴 유물도 눈길을 끈다.

김재일 기자 kj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