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데릭 루카스 베올리아워터코리아 대표 "물 절약도 탄소처럼 생각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인 1인당 하루 300ℓ 소비
“한국은 탄소 절감에 대해서는 어느 나라보다 인식이 높은 국가지만 ‘물’에 대해선 그렇지 않죠.물에 대한 시각도 탄소처럼 바꿔야 합니다.”
프레데릭 루카스 베올리아워터솔루션스앤테크놀로지코리아 대표(사진)는 “세계적인 물 부족 현상으로 기업 활동 중 물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물 발자국 줄이기(low-water footprint)’가 기업의 새로운 미션으로 떠올랐다”며 이같이 말했다.이 회사는 수처리 분야의 글로벌 1위 업체인 베올리아워터의 수처리 플랜트·솔루션 분야의 자회사 베올리아워터솔루션스앤테크놀로지의 한국 지사다.
루카스 대표에 따르면 현재 베올리아 등 글로벌 업체들은 물 낭비량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미네랄,염분 등 물의 원 성분들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물의 순환 사이클을 보존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그는 “한국은 영토가 작은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개인당 하루 물 소비량이 약 300ℓ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국가의 2배 수준”이라며 “물값이 싸다는 이유로 개인과 기업이 그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다만 최근 웅진 LG 등 국내 업체들이 수처리 시장에 잇따라 진출하고 있는 등 긍정적인 신호도 있다는 게 그의 평가다.
루카스 대표는 “기업들이 오·폐수 정화 플랜트 등의 하드웨어에만 치중하지 말고 물을 관리하고 물을 자원으로 하는 새 시장에도 눈을 돌릴 것”을 조언했다.베올리아의 경우 최근 수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슬러지 등 부산물을 이용한 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그는 “슬러지를 소화시켜 만든 바이오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등 에너지를 전혀 소비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수처리를 할 수 있는 에너지 수처리 시스템(energy self-sufficient WTP:water treatment plant)도 곧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1853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베올리아워터는 전 세계 67개국 지사에 9만6200여명의 직원을 두고 있는 수처리 운영관리 및 엔지니어링 분야의 전 세계 1위 업체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
프레데릭 루카스 베올리아워터솔루션스앤테크놀로지코리아 대표(사진)는 “세계적인 물 부족 현상으로 기업 활동 중 물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물 발자국 줄이기(low-water footprint)’가 기업의 새로운 미션으로 떠올랐다”며 이같이 말했다.이 회사는 수처리 분야의 글로벌 1위 업체인 베올리아워터의 수처리 플랜트·솔루션 분야의 자회사 베올리아워터솔루션스앤테크놀로지의 한국 지사다.
루카스 대표에 따르면 현재 베올리아 등 글로벌 업체들은 물 낭비량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미네랄,염분 등 물의 원 성분들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물의 순환 사이클을 보존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그는 “한국은 영토가 작은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개인당 하루 물 소비량이 약 300ℓ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국가의 2배 수준”이라며 “물값이 싸다는 이유로 개인과 기업이 그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다만 최근 웅진 LG 등 국내 업체들이 수처리 시장에 잇따라 진출하고 있는 등 긍정적인 신호도 있다는 게 그의 평가다.
루카스 대표는 “기업들이 오·폐수 정화 플랜트 등의 하드웨어에만 치중하지 말고 물을 관리하고 물을 자원으로 하는 새 시장에도 눈을 돌릴 것”을 조언했다.베올리아의 경우 최근 수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슬러지 등 부산물을 이용한 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그는 “슬러지를 소화시켜 만든 바이오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등 에너지를 전혀 소비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수처리를 할 수 있는 에너지 수처리 시스템(energy self-sufficient WTP:water treatment plant)도 곧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1853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베올리아워터는 전 세계 67개국 지사에 9만6200여명의 직원을 두고 있는 수처리 운영관리 및 엔지니어링 분야의 전 세계 1위 업체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