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내신 절대평가로 바뀐다
2014학년도부터 고교 내신제도가 현행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 방식으로 바뀐다. 성적은 현재의 9등급제에서 성취도에 따른 6단계로 표시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런 내용의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을 마련해 2014학년도에 시행한다고 13일 발표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고교 내신이 9등급 상대평가에서 ‘A-B-C-D-E-(F)’의 6단계 절대평가 방식으로 전환된다. 석차를 매겨 상대평가하는 게 아니라 교과목별 성취·평가기준에 따라 절대평가한다. ‘F’를 받을 경우 해당과목을 재이수하도록 하는 제도는 2014학년도에 도입 여부를 검토키로 했다.

성취도 수준은 성취율로 구분한다. A는 90% 이상(매우 우수), B는 90% 미만~80% 이상(우수), C는 80% 미만~70% 이상(만족 수준), D는 70% 미만~60% 이상(다소 미흡), E는 60% 미만~40% 이상(미흡), F는 40% 미만(낙제)이다. 현행 고교 학생부에 수학 성적이 ‘1(532)’이라면 수강자 수가 532명이며 본인의 석차등급이 1등급이라는 의미다. 앞으로는 ‘A(532)’로 바뀐다. 중학교 학생부는 ‘수·우·미·양·가’에서 ‘A-B-C-D-E-(F)’로 변경된다.

평가의 난이도와 점수 분포 등을 알 수 있도록 현재처럼 원점수와 과목평균, 표준편차를 함께 적기로 했다. 중학교와 마이스터고·특성화고는 내년 1학기부터 성취평가제를 도입한다. 교과부 관계자는 “학생들을 줄세워 석차를 매긴 뒤 일정 비율대로 등급을 나누는 상대평가가 입시 위주의 지나친 경쟁을 유발해 개선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선 학교에서 시험을 쉽게 내는 등 ‘성적 부풀리기’가 성행할 수도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1995년 도입된 절대평가제가 2005년부터 현재의 상대평가제로 바뀐 것도 이 때문이었다. 교과부 관계자는 “원점수와 과목평균, 표준편차 정보 등이 제공되기 때문에 성적 부풀리기를 했는지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종운 이투스청솔 평가이사는 “내신에 불리했던 특목고와 자사고 등 학생이 대입 전형에서 유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