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 "영국 신용등급부터 내려라"…英 "시장 평가 보면 안다" 발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재정통합 英 반대 후 갈등
‘유럽의 앙숙’인 영국과 프랑스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프랑스가 제안한 유럽연합(EU) 재정통합에 영국이 나홀로 반대를 선언하자,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와 재무부 장관이 노골적으로 영국을 비난하고 나섰다.
크리스티앙 누아예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는 15일(현지시간) 현지 일간 르텔레그람과의 인터뷰에서 “국제신용평가사들은 프랑스 신용등급을 강등하기 전 영국의 등급부터 떨어뜨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달 초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프랑스를 ‘부정적 관찰대상’에 올린 것에 대해 “프랑스 경제의 기초체력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반박하며 이같이 발언했다. S&P는 프랑스뿐만 아니라 독일 등 유럽 25개국의 등급을 강등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여기에 영국은 포함되지 않았다. 프랑스와 영국은 S&P 피치 무디스 등 3대 신평사로부터 모두 최고 등급인 ‘AAA’를 받고 있다.
누아예 총재는 “영국은 프랑스보다 국가부채가 많고 재정적자 폭이 크며, 물가상승률도 높다”고 강조했다. 그의 말대로 영국의 재정적자 비율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8.4%로 프랑스(5.7%)보다 높다.
프랑수아 바루앵 프랑스 재무장관도 누아예 총재의 ‘영국 때리기’를 거들고 나섰다. 바루앵 장관은 이날 의회 연설에서 “영국 경제는 어려운 국면에 놓여 있다”며 “영국의 적자 폭은 그리스 수준으로 늘어났고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프랑스보다 낮다”고 말했다. 그는 “역사는 EU 재정통합에 홀로 반대한 영국을 소외된 존재로 기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발언이 알려지자 영국 정부가 발끈하고 나섰다. 영국 총리실은 대변인 성명을 통해 “영국은 적자 감축을 위한 철저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국채 금리만 봐도 시장이 양국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 수 있다”고 반박했다.
영국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연 2.11%로 프랑스(연 3.08%)보다 1.0%포인트 정도 낮다. 국채 금리가 높을수록 해당 국가의 부도위험이 높다는 뜻이므로, 시장에서는 프랑스의 부도 가능성을 영국보다 높게 보고 있는 셈이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크리스티앙 누아예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는 15일(현지시간) 현지 일간 르텔레그람과의 인터뷰에서 “국제신용평가사들은 프랑스 신용등급을 강등하기 전 영국의 등급부터 떨어뜨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달 초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프랑스를 ‘부정적 관찰대상’에 올린 것에 대해 “프랑스 경제의 기초체력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반박하며 이같이 발언했다. S&P는 프랑스뿐만 아니라 독일 등 유럽 25개국의 등급을 강등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여기에 영국은 포함되지 않았다. 프랑스와 영국은 S&P 피치 무디스 등 3대 신평사로부터 모두 최고 등급인 ‘AAA’를 받고 있다.
누아예 총재는 “영국은 프랑스보다 국가부채가 많고 재정적자 폭이 크며, 물가상승률도 높다”고 강조했다. 그의 말대로 영국의 재정적자 비율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8.4%로 프랑스(5.7%)보다 높다.
프랑수아 바루앵 프랑스 재무장관도 누아예 총재의 ‘영국 때리기’를 거들고 나섰다. 바루앵 장관은 이날 의회 연설에서 “영국 경제는 어려운 국면에 놓여 있다”며 “영국의 적자 폭은 그리스 수준으로 늘어났고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프랑스보다 낮다”고 말했다. 그는 “역사는 EU 재정통합에 홀로 반대한 영국을 소외된 존재로 기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발언이 알려지자 영국 정부가 발끈하고 나섰다. 영국 총리실은 대변인 성명을 통해 “영국은 적자 감축을 위한 철저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국채 금리만 봐도 시장이 양국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 수 있다”고 반박했다.
영국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연 2.11%로 프랑스(연 3.08%)보다 1.0%포인트 정도 낮다. 국채 금리가 높을수록 해당 국가의 부도위험이 높다는 뜻이므로, 시장에서는 프랑스의 부도 가능성을 영국보다 높게 보고 있는 셈이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