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비상대책위원회’의 인적 구성이 여권 내 최대 관심사다. 이들이 박근혜 전 대표의 한나라당 쇄신 작업을 주도하기 때문이다.

특히 비대위에 참여할 외부인사들에게 눈길이 간다. 외부인사는 사실상 박근혜 비대위의 ‘얼굴’이라는 점에서 대중성과 참신성을 가진 인사의 참여가 유력시된다.

‘아프니까 청춘이다’의 저자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아동학부 교수와 김종인 전 청와대 경제수석, 이상돈 중앙대 법학과 교수 등이 거론된다.

당내에서는 쇄신파 의원 중 일부가 포함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박 전 대표가 지난 14일 쇄신파 의원들을 직접 만나 당 쇄신 방안을 논의한 것을 감안하면 이들에게 쇄신 관련 역할을 줄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중립 성향의 권영진 의원과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홍정욱 의원 등이 거론된다. 황우여 원내대표와 이주영 정책위의장은 당연직으로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친박근혜계 인사와 현 정부 인사들은 비대위에서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친박계를 비대위원으로 기용할 경우 박 전 대표가 계파정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 또 이명박 대통령과 선긋기 차원에서라도 현 정부 인사를 쓰기는 어렵다.

비대위 구성 시기와 관련해서는 예상보다 늦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비대위원장으로 선출된 다음에야 박 전 대표가 본격 영입 작업에 들어갈 수 있어서다.

친박계 관계자는 “비대위 참여를 꺼리는 인사가 있으면 박 전 대표가 삼고초려를 할 수도 있다”며 “이런 점을 감안하면 빠른 시일 내 비대위 구성이 완료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나라당은 19일 전국위원회를 열어 ‘박근혜 비대위’에 최고위원회의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의 당헌 개정을 의결한다. 전국위원의 참여가 부진해 의결정족수에 미달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