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서울시 공무원의 경박한 발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경민 지식사회부 기자 kkm1026@hankyung.com
“언론도 글로벌 스탠더드를 갖춥시다. 국민 세금 안 들어가는 곳이 어딨습니까.” (서울시 A국장)
지난 16일 오후 서울시청 서소문 별관에선 예정에 없던 긴급 브리핑이 열렸다. 서울시가 정명훈 서울시향 예술감독과 재계약하기로 확정했다는 것을 발표하기 위한 자리였다. 최근 정 감독이 서울시로부터 총 20억원의 연봉을 받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고액 연봉’ 논란이 불거졌던 터라 관심이 쏠렸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정 감독과의 회동에서 서울시향을 계속 맡아 줄 것을 요청했고, 정 감독도 후진양성 등 시향의 발전을 위해 힘쓰겠다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정 감독의 연봉이 많냐 적냐는 큰 문제가 아니다. 정 감독 같은 세계적인 지휘자라면 ‘수요·공급’이라는 시장 논리에 맞춰 그만큼의 돈을 받아도 충분하다는 의견이 많다.
문제는 브리핑에 나온 서울시 고위 관계자의 ‘부적절’한 자세였다. 시 문화관광기획관인 A국장은 브리핑 내내 무성의한 태도로 일관했다. 부대비용을 빼면 얼마가 줄어드는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는 “언론도 수준을 높이자. 글로벌 스탠더드를 갖춰야 되지 않겠냐”라고 큰소리치며 공개를 거부했다.
A국장은 “정 감독의 연봉은 국민 세금이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엔 “국민 세금? 국민 세금이 안 들어가는 곳이 어디있나”라고 맞받아쳤다. 뿐만 아니라 “(줄어드는 금액에 대해선) 말해줄 수 없으니 기자들이 쓰고 싶은 대로 알아서 써라”고까지 했다. 오죽했으면 이를 지켜보던 서울시의 다른 관계자조차 “담당국장이 저렇게 말하면 안 되는데…”라며 혀를 찼을 정도였다.
서울시향은 1000만 서울시민의 예산으로 운영되는 단체다. 구체적인 액수를 밝히지는 않더라도 지휘자의 연봉으로 대략 어느 정도의 비용이 들어가는지를 알아야 하는 건 시민의 당연한 권리다. 그래야 예산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는 박 시장의 생각과도 맞다.
하지만 시 관계자의 이날 태도는 한참 거리가 멀었다. 국민 세금을 가볍게 여기는 공직자의 태도야말로 서울시의 글로벌 스탠더드를 떨어뜨리는 행동이라는 걸 이 관계자는 명심해야 한다.
강경민 지식사회부 기자 kkm1026@hankyung.com
지난 16일 오후 서울시청 서소문 별관에선 예정에 없던 긴급 브리핑이 열렸다. 서울시가 정명훈 서울시향 예술감독과 재계약하기로 확정했다는 것을 발표하기 위한 자리였다. 최근 정 감독이 서울시로부터 총 20억원의 연봉을 받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고액 연봉’ 논란이 불거졌던 터라 관심이 쏠렸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정 감독과의 회동에서 서울시향을 계속 맡아 줄 것을 요청했고, 정 감독도 후진양성 등 시향의 발전을 위해 힘쓰겠다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정 감독의 연봉이 많냐 적냐는 큰 문제가 아니다. 정 감독 같은 세계적인 지휘자라면 ‘수요·공급’이라는 시장 논리에 맞춰 그만큼의 돈을 받아도 충분하다는 의견이 많다.
문제는 브리핑에 나온 서울시 고위 관계자의 ‘부적절’한 자세였다. 시 문화관광기획관인 A국장은 브리핑 내내 무성의한 태도로 일관했다. 부대비용을 빼면 얼마가 줄어드는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는 “언론도 수준을 높이자. 글로벌 스탠더드를 갖춰야 되지 않겠냐”라고 큰소리치며 공개를 거부했다.
A국장은 “정 감독의 연봉은 국민 세금이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엔 “국민 세금? 국민 세금이 안 들어가는 곳이 어디있나”라고 맞받아쳤다. 뿐만 아니라 “(줄어드는 금액에 대해선) 말해줄 수 없으니 기자들이 쓰고 싶은 대로 알아서 써라”고까지 했다. 오죽했으면 이를 지켜보던 서울시의 다른 관계자조차 “담당국장이 저렇게 말하면 안 되는데…”라며 혀를 찼을 정도였다.
서울시향은 1000만 서울시민의 예산으로 운영되는 단체다. 구체적인 액수를 밝히지는 않더라도 지휘자의 연봉으로 대략 어느 정도의 비용이 들어가는지를 알아야 하는 건 시민의 당연한 권리다. 그래야 예산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는 박 시장의 생각과도 맞다.
하지만 시 관계자의 이날 태도는 한참 거리가 멀었다. 국민 세금을 가볍게 여기는 공직자의 태도야말로 서울시의 글로벌 스탠더드를 떨어뜨리는 행동이라는 걸 이 관계자는 명심해야 한다.
강경민 지식사회부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