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젊은데 벌써 발기부전이라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복잡한 사회생활과 환경호르몬의 영향으로 30대 젊은층의 발기부전이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젊은 나이에 발기가 약해지는 현상은 나이에 따른 자연스런 변화가 아니다. 발기약화를 일으킨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진단하고, 그 원인을 해결하는 치료를 적시에 한다면 다시 건강한 성생활을 즐길 수 있다. 만약 남편이 이유 없이 오랜기간 잠자리를 멀리하거나 피하게 된다면 남편의 발기부전을 한번쯤은 의심해 봐야 한다. 발기부전은 더 이상 남성 혼자만의 고민이 아닌 부부가 서로 협력하여 고민하고 풀어야 할 숙제다.
◆“발기부전, 젊은층도 안심 못한다”
발기부전은 서구화된 인스턴트 음식과 육식 섭취가 늘면서 급증하고 있다. 최근에는 젊은층도 발기부전의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각종 통계가 나오고 있다. 신체적인 원인과 심리적인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추세다. 젊고 건강한 남성에게도 갑자기 다가오는 발기부전이 흔하다는 얘기다. 따라서 발기부전은 건강하지 못한 사람에게 생길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버려야 한다.
강석찬 키움남성비뇨기과 원장은 “발기부전은 크게 심인성 원인과 기질적 원인으로 나뉘어지는데, 최근 연구는 심인성 원인보다 기질적 원인에 더 비중을 두고 있다”며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 발생하는 발기부전은 사회생활에서의 과중한 스트레스와 심리적인 압박이 원인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심인성 발기부전은 개인에 따라 다양하며 복합적일 수 있다. 보통 스트레스, 공포, 분노, 성취 불안, 심리적 불안, 초조, 긴장, 불쾌감, 불화, 신경쇠약, 종교적 또는 윤리적 억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유 없이 갑자기 생기거나 어떤 상황이나 파트너에 따라 장애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기질적 발기부전으로는 발기에 관여하는 신경, 혈관, 호르몬계통의 손상, 사고나 외상, 수술, 약물의 부작용 등 다양하다. 크게 분류해보면 그 원인에 따라 신경인성, 혈관성(동맥성, 정맥성), 내분비성, 발기부전 증으로 분류된다.
◆원인 정확히 알아야 치료가능
강 원장은 “발기부전은 일반적으로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와 같은 혈관질환을 통해 발생하지만 젊은 남성의 경우 대부분이 이런 혈관질환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젊은 층의 발기부전은 대부분 심인성 질병으로 판단돼 스트레스를 없애거나 마음을 편하게 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치료가 이뤄진다”고 말했다.
강 원장은 이어 “하지만 이는 가능성의 일부분일 뿐이며, 실제로 신체적인 결함에서 비롯되는 기질적 원인의 경우도 의외로 많아 전문의와의 상담과 진료를 통한 정확한 원인 규명이 우선”이라고 덧붙였다.
발기부전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본인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전문비뇨기과를 찾아 원인을 파악하고 근본적인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
특히 젊은 나이에 발기가 약해지는 현상은 나이에 따른 자연스런 변화가 아니다. 발기약화를 일으킨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진단하고, 그 원인을 해결하는 치료를 적시에 한다면 다시 건강한 성생활을 즐길 수 있다. 만약 남편이 이유 없이 오랜기간 잠자리를 멀리하거나 피하게 된다면 남편의 발기부전을 한번쯤은 의심해 봐야 한다. 발기부전은 더 이상 남성 혼자만의 고민이 아닌 부부가 서로 협력하여 고민하고 풀어야 할 숙제다.
◆“발기부전, 젊은층도 안심 못한다”
발기부전은 서구화된 인스턴트 음식과 육식 섭취가 늘면서 급증하고 있다. 최근에는 젊은층도 발기부전의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각종 통계가 나오고 있다. 신체적인 원인과 심리적인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추세다. 젊고 건강한 남성에게도 갑자기 다가오는 발기부전이 흔하다는 얘기다. 따라서 발기부전은 건강하지 못한 사람에게 생길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버려야 한다.
강석찬 키움남성비뇨기과 원장은 “발기부전은 크게 심인성 원인과 기질적 원인으로 나뉘어지는데, 최근 연구는 심인성 원인보다 기질적 원인에 더 비중을 두고 있다”며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 발생하는 발기부전은 사회생활에서의 과중한 스트레스와 심리적인 압박이 원인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심인성 발기부전은 개인에 따라 다양하며 복합적일 수 있다. 보통 스트레스, 공포, 분노, 성취 불안, 심리적 불안, 초조, 긴장, 불쾌감, 불화, 신경쇠약, 종교적 또는 윤리적 억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유 없이 갑자기 생기거나 어떤 상황이나 파트너에 따라 장애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기질적 발기부전으로는 발기에 관여하는 신경, 혈관, 호르몬계통의 손상, 사고나 외상, 수술, 약물의 부작용 등 다양하다. 크게 분류해보면 그 원인에 따라 신경인성, 혈관성(동맥성, 정맥성), 내분비성, 발기부전 증으로 분류된다.
◆원인 정확히 알아야 치료가능
강 원장은 “발기부전은 일반적으로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와 같은 혈관질환을 통해 발생하지만 젊은 남성의 경우 대부분이 이런 혈관질환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젊은 층의 발기부전은 대부분 심인성 질병으로 판단돼 스트레스를 없애거나 마음을 편하게 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치료가 이뤄진다”고 말했다.
강 원장은 이어 “하지만 이는 가능성의 일부분일 뿐이며, 실제로 신체적인 결함에서 비롯되는 기질적 원인의 경우도 의외로 많아 전문의와의 상담과 진료를 통한 정확한 원인 규명이 우선”이라고 덧붙였다.
발기부전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본인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전문비뇨기과를 찾아 원인을 파악하고 근본적인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