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이 내년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을 더욱 증폭시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경제단체들은 19일 일제히 논평과 성명을 내고 이번 사태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성명에서 “한반도 정세가 불안해져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경계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정부는 어떤 상황 변화에도 슬기롭게 대응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춰주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정부는 이번 사태가 북한 리스크로 이어져 우리 경제와 기업에 미치는 악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만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어 “우리 국민과 기업도 불확실성에 흔들림 없이 정부를 신뢰하고 확고한 의지와 냉철한 자세를 가지고 본연의 역할을 다해 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상황에 처한 우리 사회가 김정일 사망 사태로 혼란과 동요에 빠지지 않기를 바란다”며 “정부는 예측 가능한 모든 사태에 만전을 기하고 정치권 역시 사회안정을 위해 정쟁을 지양하는 등 국가안보를 위해 한층 더 노력해 줄 것을 희망한다”고 촉구했다.

한국무역협회는 “김정일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향후 남북관계 등에 관한 섣부른 예단보다는 사태 전개를 예의 주시하고 정부를 중심으로 국민 모두 합심해 만반의 대응책 마련에 힘써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무역협회는 비상대책반을 구성, 북한 급변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파악해 기업경영이나 대외교역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정부 부처와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들도 이번 사태의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기업의 한 임원은 “북한 측과 직접적인 비즈니스 관계가 없지만 내년 경기전망이 어두운 상황에서 김정일의 사망은 불확실성을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