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가 유럽발(發) 악재에 하락했다.

1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00.13포인트(0.84%) 하락한 1만1766.26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푸어스(S&P)500 지수는 14.31포인트(1.17%) 떨어진 1205.35를 기록했고, 나스닥 종합지수는 32.19포인트(1.26%) 내린 2523.14를 나타냈다.

美 증시, 유럽 재정위기 지속에 하락…다우 100.13p↓
이날 뉴욕증시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갑작스러운 사망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로 출발했다. 이후 마리오 드라기 유럽 중앙은행(ECB) 총재가 유럽연합(EU) 의회에 참석, 유럽 재정위기 국가들에 대한 국채매입 확대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히자 증시는 하락세로 돌아섰다.

드라기 총재는 유로존(유로화 사용국)의 경제 전망은 지극히 불투명하다며 상당한 위험이 여전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EU 조약이 ECB의 소임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며 "조약은 회원국에 대한 통화 지원을 금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열린 EU 재무장관의 화상회의 역시 투자자들의 기대를 채우기에는 부족했다. EU 재무장관들은 지난 9일 EU 정상들이 합의한 신(新)재정협약의 구체적인 사항을 조율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을 통해 1500억유로의 재원을 확충하자는데 합의했지만, 영국 등의 반대로 시행여부를 확정하지는 못했다.

웰스파고 어드벤티지펀드의 브라이언 제이콥슨 최고 포트폴리오 전략가는 "많은 투자자들이 ECB의 국채 매입이 확대되길 기대하고 있지만, 국채 매입은 올바른 해결 방안이 아닐 수 있다"며 "IMF나 구제금융 프로그램을 통한 기금 조성이 더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주택시장 체감경기는 예상보다 다소 나아졌다. 이날 전미주택건설협회(NAHB)는 12월 미국의 주택시장지수가 전월 19보다 높아진 21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5월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고치다.

씨티그룹과 골드만삭스 등 금융주 중심으로 약세가 두드러졌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주가는 2009년 3월 이후 처음으로 5달러를 밑돌았다.

국제유가는 소폭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내년 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지난주보다 35센트(0.4%) 오른 배럴당 93.8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한경닷컴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