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을 사랑한 여인들…4人 4色 인생
지난 17일 사망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소식이 전해지면서 그를 둘러싼 4명의 여인들에게 관심이 쏠리고 있다.

탈북자와 전문가들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여성편력은 유명하다.

김 위원장은 생전에 성혜림·김영숙·고영희·김옥 등 4명의 여인과 동거하며 6명의 자녀를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 동거녀인 성혜림은 김 위원장보다 다섯살 연상으로 1960∼70년대 초 북한 영화계를 주름잡은 최고의 여배우로 꼽힌다.

1937년 경남 창원 출생인 성혜림은 6·25전쟁 때 좌익계열 지식인인 부모를 따라 월북한 뒤 카프 작가 리기영의 장남 리평과 결혼해 딸을 낳았다. 그러나 1960년대 말 문예부문을 지도하던 김 위원장의 눈에 들어 전 남편과 이혼하고 미혼이자 연하인 김 위원장과 동거했다.

짧지만 강렬한 사랑을 받은 성혜림은 이혼녀 신분으로 1971년 김 위원장과 사이에서 장남 정남을 낳았으나 평생 숨겨진 여인으로 살아야만 했다.

이후 신경쇠약과 우울증, 신경성 질환, 당뇨병 등 여러 지병으로 1980년대 초부터 러시아의 크렘린 정부병원에서 오랫동안 치료를 받다가 2002년 5월 모스크바에서 세상을 등졌다.

김 위원장의 두번째 동거녀는 김영숙(1947년생)이다.

그는 김 위원장의 네 여인 중 유일하게 김일성 주석의 정식 허락을 받아 결혼식을 거친 공식 부인이다.

함경북도 인민보안국 타자수를 거쳐 노동당 간부부에서 문서원으로 일하다가 김 위원장의 눈에 들어 결혼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영숙은 아들을 낳지 못하고 설송, 춘송 두 딸만 낳아 김 위원장의 관심에서도 완전히 멀어졌다.

김 위원장이 생전에 가장 사랑했던 여인은 재일교포 출신의 고영희로, 김 위원장의 후계자 김정은의 생모다.

제주도 출신 고경태의 딸인 고영희는 1960년대 재일교포의 대규모 북송 때 부모와 함께 북한으로 건너간 뒤 만수대예술단 무용수로 활동하던 1970년대 중반 김 위원장과 동거에 들어갔다. 2004년 유선암으로 사망하기 전까지 줄곧 김 위원장과 함께 살았다.

고영희는 두 아들 정은과 정철, 딸 여정을 낳았고 김 위원장의 공식 부인으로 북한의 퍼스트레이디로서 자리를 굳혔었다.

김 위원장의 사랑을 가장 장시간 독차지했지만 아들이 후계자가 되는 것을 보지 못하고 일찍 생을 마쳤다.

김 위원장의 마지막 여인인 김옥은 김 위원장이 눈을 감는 마지막 순간까지 곁을 지킨 최후의 여인이다.

평양음악무용대학(현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에서 피아노를 전공한 김옥은 1980년대 초부터 고영희가 사망할 때까지 김 위원장의 서기실 과장 직함을 갖고 김 위원장의 업무를 특별보좌했다.

때문에 일찍부터 정치와 권력의 생리에 눈을 떴고 김 위원장의 가족들과 상당히 가깝게 지낸것으로 전해졌다.

2004년 고영희 여사가 숨진 이후 김 위원장의 옆자리를 차지하면서 사실상 네번째 부인이 됐다.

김옥은 김 위원장의 6차례 중국 방문과 3차례의 러시아 방문에 동행했다. 2005년과 2009년 김 위원장이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을 만났을 때 모두 배석하는 등 김 위원장의 여인 중 유일하게 외교활동에 직접 동석하며 퍼스트레이디로서 위상을 높였다.

그는 김정은이 후계자로 등극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김옥이 김 위원장 사후에도 권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다. 김정은 체제가 불안정하고 김정은의 친어머니가 아니라는 점 등이 그 이유로 꼽힌다.

한경닷컴 속보팀 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