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김필남 교수, 필름ㆍ박막 주름 원인 3차원 방식으로 규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디스플레이 박막, 필름 등의 노후화로 생기는 주름 생성 과정을 젊은 여성 과학자가 3차원으로 규명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미국 프린스턴대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김필남 KAIST 연구교수(32·사진)가 이 같은 성과를 내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머티리얼즈’ 12월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고 20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박막이 반복 사용을 거치면서 주름이 생기고, 주름이 3차원 형태로 접히면서 깊은 골짜기 형상으로 변해 간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규명했다. 또 접힌 골짜기 형태 주름에 의해 주변의 주름이 영향을 받아 연속적으로 재정렬되는 형상을 관찰했다. 연구팀은 이 과정이 건조한 땅이 갈라질 때 보이는 구조와 상당히 흡사하다고 설명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미국 프린스턴대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김필남 KAIST 연구교수(32·사진)가 이 같은 성과를 내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머티리얼즈’ 12월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고 20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박막이 반복 사용을 거치면서 주름이 생기고, 주름이 3차원 형태로 접히면서 깊은 골짜기 형상으로 변해 간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규명했다. 또 접힌 골짜기 형태 주름에 의해 주변의 주름이 영향을 받아 연속적으로 재정렬되는 형상을 관찰했다. 연구팀은 이 과정이 건조한 땅이 갈라질 때 보이는 구조와 상당히 흡사하다고 설명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