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달러 못빌려도 석달은 버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당국, 18개 은행 외화유동성 긴급 점검
北리스크 악화 대비 은행 비상체제 가동
北리스크 악화 대비 은행 비상체제 가동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으로 외화차입 여건이 나빠지더라도 국내 은행들은 석달은 끄떡없이 버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향후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험이 크게 부각되거나 유럽 재정위기가 악화되면 외화유동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보고 은행들이 비상체제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금융당국 긴급 점검
금융당국은 20일 국민 우리 신한 하나 외환 등 18개 은행의 외화자금 부장을 불러 외화유동성 현황을 긴급 점검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유럽 재정위기 여파로 스트레스 테스트를 했는데 그 결과를 통보하고 김 위원장 사망에 따른 영향도 살펴보기 위해 자리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은 이 자리에서 18개 은행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고 알렸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난 10월 기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가 6월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보다 더 좋았다”며 “중장기 차환율(만기연장비율) 0%를 가정했는데도 18개 은행 모두 3개월 이상 버틸 수 있는 것으로 나왔다”고 밝혔다. 한 은행 관계자는 “김 위원장 사망으로 외화차입이 전면 중단된다 하더라도 석달은 문제가 없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중장기 차환율 0%에다 예금인출 사태를 비롯해 만기도래 유가증권의 차환이 안 되는 극단적 변수도 집어넣어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은행별 10월 기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를 조만간 개별적으로 통보할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김정일 사망 이상의 지정학적 악재가 한반도에 나타나더라도 버틸 수 있는 것으로 나왔지만 앞으로 이런 사태가 장기화될 것에 대비하라고 은행권에 지시했다”며 “은행별로 비상계획을 세워 자체 점검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고 말했다.
◆은행 비상체제 가동
은행들은 김 위원장 사망 소식에도 국내 은행들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크게 오르지 않아 안도하고 있다. 주요 국제 신용평가사들도 북한 권력승계 불확실성은 있지만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은행권은 김 위원장 사망이 장기적으로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하면서 비상대응 체제에 들어갔다. 국제금융센터도 이날 투자은행(IB)들의 견해를 토대로 “2011년 중 사무라이채 발행이 활발했으나 북한발(發) 악재로 내년 초에는 한국계 외화채권, 특히 사무라이채 발행이 여의치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하나은행은 김 위원장 사망 직전 5억달러 규모의 외화표시채권 발행에 성공, 악재를 코앞에 두고 적절한 타이밍에 달러를 조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나은행은 지난 8일 5억달러 규모의 달러표시채권을 발행했으며 14일 이 돈을 모두 입금받았다. 이 채권의 금리는 5년 만기 미 국채 금리에 345bp(1bp=0.01%포인트)를 더한 수준에서 결정됐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김 위원장 사망 이후 국제금융시장이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데 이에 앞서 글로벌채권 발행에 성공해 다행”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국민은행은 시기와 조건을 지나치게 따지다가 타이밍을 놓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달 내내 외화표시채권 발행을 저울질하다 금리가 높아 일정을 뒤로 미뤘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금융당국 긴급 점검
금융당국은 20일 국민 우리 신한 하나 외환 등 18개 은행의 외화자금 부장을 불러 외화유동성 현황을 긴급 점검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유럽 재정위기 여파로 스트레스 테스트를 했는데 그 결과를 통보하고 김 위원장 사망에 따른 영향도 살펴보기 위해 자리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은 이 자리에서 18개 은행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고 알렸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난 10월 기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가 6월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보다 더 좋았다”며 “중장기 차환율(만기연장비율) 0%를 가정했는데도 18개 은행 모두 3개월 이상 버틸 수 있는 것으로 나왔다”고 밝혔다. 한 은행 관계자는 “김 위원장 사망으로 외화차입이 전면 중단된다 하더라도 석달은 문제가 없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중장기 차환율 0%에다 예금인출 사태를 비롯해 만기도래 유가증권의 차환이 안 되는 극단적 변수도 집어넣어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은행별 10월 기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를 조만간 개별적으로 통보할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김정일 사망 이상의 지정학적 악재가 한반도에 나타나더라도 버틸 수 있는 것으로 나왔지만 앞으로 이런 사태가 장기화될 것에 대비하라고 은행권에 지시했다”며 “은행별로 비상계획을 세워 자체 점검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고 말했다.
◆은행 비상체제 가동
은행들은 김 위원장 사망 소식에도 국내 은행들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크게 오르지 않아 안도하고 있다. 주요 국제 신용평가사들도 북한 권력승계 불확실성은 있지만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은행권은 김 위원장 사망이 장기적으로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하면서 비상대응 체제에 들어갔다. 국제금융센터도 이날 투자은행(IB)들의 견해를 토대로 “2011년 중 사무라이채 발행이 활발했으나 북한발(發) 악재로 내년 초에는 한국계 외화채권, 특히 사무라이채 발행이 여의치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하나은행은 김 위원장 사망 직전 5억달러 규모의 외화표시채권 발행에 성공, 악재를 코앞에 두고 적절한 타이밍에 달러를 조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나은행은 지난 8일 5억달러 규모의 달러표시채권을 발행했으며 14일 이 돈을 모두 입금받았다. 이 채권의 금리는 5년 만기 미 국채 금리에 345bp(1bp=0.01%포인트)를 더한 수준에서 결정됐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김 위원장 사망 이후 국제금융시장이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데 이에 앞서 글로벌채권 발행에 성공해 다행”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국민은행은 시기와 조건을 지나치게 따지다가 타이밍을 놓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달 내내 외화표시채권 발행을 저울질하다 금리가 높아 일정을 뒤로 미뤘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