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체제] 후진타오 "김정은 영도 아래 단결" 재차 강조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20일 지도부를 대동하고 주중 북한대사관을 찾아 조문했다. 이 자리에는 서열 2위인 우방궈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5위인 리창춘 당 중앙정치국상무위원, 6위인 시진핑 부주석이 대동했다.

후 주석 등 지도부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영정이 걸린 분향소에서 묵념하고 박명호 공사 등 대사관 관계자들을 만나 위로했다. 후 주석은 “중국 당과 정부는 김정일 동지의 서거에 비통한 심정”이라며 “중국 인민은 조선의 위대한 영도자이자 중국 인민의 친밀한 벗인 그를 영원히 그리워할 것”이라고 말했다. 후 주석은 이어 “우리는 조선 인민이 김정일 동지의 유지를 받들어 조선노동당을 중심으로 단결해 김정은 동지의 영도 아래 사회주의 강성대국 건설과 한반도의 장기적 평화와 안정 실현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고 강조했다. 전날 조전에서 김정은 체제를 지지한 것을 재확인한 것이다.

그러나 ‘포스트 김정일 시대’에 도 북한과 중국이 ‘혈맹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은 많지 않다. 혁명 이후 세대인 김정은과 시진핑 중국 국가부주석이 각각 정권을 잡으면 실용과 실리에 의해 관계가 좌우되는 경향이 뚜렷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북·중 관계가 상호 절대 우군인 혈맹에서 다수의 우방 중 하나인 전략적 파트너 관계로 전환할 것이라는 의미다.

중국은 지난 19일 공산당과 정부, 군 등 권력집단의 최고 지도부 이름으로 북한에 조전을 보내며 김정은 체제를 이미 인정했다. ‘김정은의 북한’을 공식화한 첫 국가다. 이는 혈맹에 대한 예우 측면보다 북한 정권 안정이 중국에도 이롭다는 실용적인 관점에서 나온 결론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반도에 대한 중국의 정책적 목표는 평화와 북한 정권의 안정이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미국과 일본을 견제하고 중국의 정치적 안정을 꾀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북한 정권이 흔들려 대규모 난민이 넘어올 경우 중국 내 사회 불안이 야기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서진영 고려대 명예교수는 “중국의 입장에서 북한은 전략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과거와 같은 혈맹관계는 아니지만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가치가 분명하기 때문에 당분간 양국 관계가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중국은 한국에 대해서도 똑같이 전략적 파트너라는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며 “앞으로 중국이 한국을 배제하고 북한을 지지하는 일도 훨씬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김태완 특파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