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일 정상회담을 재론하지 않을 수 없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급서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가 소용돌이치고 있다. 그렇기에 지난 18일 한·일 정상회담을 새삼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이명박 대통령은 57분간 위안부 문제만 집중 제기했을 뿐, 별다른 성과 없이 돌아왔다. 정권 기반이 약해진 양국 정상이 자국민용 발언으로 일관했으니 외교 포퓰리즘이라 비판받아도 할 말이 없게 됐다.
위안부 문제의 심각성을 부인하려는 게 아니다. 하지만 방일 자체가 최악의 타이밍이었고, 중차대한 시기에 대통령이 나라를 비운 꼴이었으니 안 가느니만 못했다는 얘기다. 시점도 김 위원장이 이미 사망한 뒤다. 17일 오전 8시30분 김 위원장 급서 이후 네 시간 뒤 이 대통령은 일본으로 떠났다. 19일 낮 12시 조선중앙방송의 보도가 나오기까지 정부의 정보·외교·안보 라인은 무려 52시간 동안이나 총체적인 먹통 상태가 됐다.
일본은 우리나라의 태평양 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한 축이다. 외교의 신중함은 바로 이런 일종의 예고된 급변사태를 위해서도 반드시 지켜야 하는 대원칙이다. 일본 노다 총리를 추궁한 바로 다음날 이 대통령은 노다 총리에게 일종의 협조전화를 했어야 했다. 한·일 정상회담은 결국 몇시간짜리 국내용 이벤트였다. 청와대 외교라인이 어떻게 했기에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이 생기나.
위안부 문제의 심각성을 부인하려는 게 아니다. 하지만 방일 자체가 최악의 타이밍이었고, 중차대한 시기에 대통령이 나라를 비운 꼴이었으니 안 가느니만 못했다는 얘기다. 시점도 김 위원장이 이미 사망한 뒤다. 17일 오전 8시30분 김 위원장 급서 이후 네 시간 뒤 이 대통령은 일본으로 떠났다. 19일 낮 12시 조선중앙방송의 보도가 나오기까지 정부의 정보·외교·안보 라인은 무려 52시간 동안이나 총체적인 먹통 상태가 됐다.
일본은 우리나라의 태평양 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한 축이다. 외교의 신중함은 바로 이런 일종의 예고된 급변사태를 위해서도 반드시 지켜야 하는 대원칙이다. 일본 노다 총리를 추궁한 바로 다음날 이 대통령은 노다 총리에게 일종의 협조전화를 했어야 했다. 한·일 정상회담은 결국 몇시간짜리 국내용 이벤트였다. 청와대 외교라인이 어떻게 했기에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이 생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