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국회 김정일 조문단' 野 제안 거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안보' 에 힘 실어…보수층 민심 달래기
박근혜 "정부 방침 따라야"…조문단 파견 흐지부지 될 듯
박근혜 "정부 방침 따라야"…조문단 파견 흐지부지 될 듯
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21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과 관련, ‘여야 조문단’을 구성하자는 원혜영 민주통합당 공동대표의 제안을 거부했다. ‘상견례’ 성격으로 마련된 이날 회동은 조문단 파견에 대한 입장 차가 불거지면서 시종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원 대표가 먼저 조문단 구성 문제를 꺼냈다. 그는 “정부가 정부 차원의 조문단은 파견하지 않기로 했지만 국회 차원에서는 여야가 함께 참여하는 조문단 구성에 대해 많은 의견을 나누고 싶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남남갈등, 국론분열이 있어선 안 된다”며 “정부가 조문단을 파견하지 않기로 한 만큼 정부의 기본 방침과 다르게 가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거부했다. 이어 “이미 북에서 조문단을 받지 않는다고 했고, 여야 각각 당의 입장이 나왔기 때문에 국회 차원에서 조문단을 꾸리는 것은 순리에 맞지 않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원 대표도 물러서지 않았다. 그는 “정당을 주축으로 하는 국회는 민간과 정부의 중간 입장에서 능동적으로 선도할 수 있지 않느냐”며 여야 간 협의를 거듭 요구했다. 그러자 박 위원장은 “여야가 정치 복원을 위해 협의는 필요하지만 정부의 기본 방침을 따르는 게 중요하다”고 일축했다.
원 대표는 박 위원장이 2002년 북한 초청으로 김 위원장을 만난 사실을 거론한 뒤 “국회가 정부보다 반걸음 정도 앞서가는 모습을 보였으면 좋겠다”고 거듭 제기했으나 박 위원장은 “그 때는 핵문제 등이 그렇게 심각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의 이러한 ‘선긋기’는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 후 조문단 파견 문제를 놓고 촉발됐던 국론분열 양상을 서둘러 차단하려는 의지로 해석된다. 조문단 이슈로 한나라당 내 갈등이 불거질 수 있고, 여야가 정쟁으로 빠져들 경우 민심이 더 멀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도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박 위원장은 김 위원장 사망 이후 ‘안보’와 ‘단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날 중진의원들과의 간담회에서도 여야 간 초당적인 협력과 대처를 강조했다. ‘비상시국’인 만큼 정쟁을 뛰어넘어 단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박 위원장은 기자들에게 “(비대위 인선이) 아직 완결되지 않았다”며 “(비대위 구성 시점은) 내주 초나 그렇게 되지 않을까 싶다. 지금 시국도 이렇고…”라고 말했다. 비대위원 인선은 그의 첫 인사인 데다 당 쇄신의 향배를 가늠하는 중요한 잣대여서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된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
원 대표가 먼저 조문단 구성 문제를 꺼냈다. 그는 “정부가 정부 차원의 조문단은 파견하지 않기로 했지만 국회 차원에서는 여야가 함께 참여하는 조문단 구성에 대해 많은 의견을 나누고 싶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남남갈등, 국론분열이 있어선 안 된다”며 “정부가 조문단을 파견하지 않기로 한 만큼 정부의 기본 방침과 다르게 가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거부했다. 이어 “이미 북에서 조문단을 받지 않는다고 했고, 여야 각각 당의 입장이 나왔기 때문에 국회 차원에서 조문단을 꾸리는 것은 순리에 맞지 않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원 대표도 물러서지 않았다. 그는 “정당을 주축으로 하는 국회는 민간과 정부의 중간 입장에서 능동적으로 선도할 수 있지 않느냐”며 여야 간 협의를 거듭 요구했다. 그러자 박 위원장은 “여야가 정치 복원을 위해 협의는 필요하지만 정부의 기본 방침을 따르는 게 중요하다”고 일축했다.
원 대표는 박 위원장이 2002년 북한 초청으로 김 위원장을 만난 사실을 거론한 뒤 “국회가 정부보다 반걸음 정도 앞서가는 모습을 보였으면 좋겠다”고 거듭 제기했으나 박 위원장은 “그 때는 핵문제 등이 그렇게 심각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의 이러한 ‘선긋기’는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 후 조문단 파견 문제를 놓고 촉발됐던 국론분열 양상을 서둘러 차단하려는 의지로 해석된다. 조문단 이슈로 한나라당 내 갈등이 불거질 수 있고, 여야가 정쟁으로 빠져들 경우 민심이 더 멀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도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박 위원장은 김 위원장 사망 이후 ‘안보’와 ‘단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날 중진의원들과의 간담회에서도 여야 간 초당적인 협력과 대처를 강조했다. ‘비상시국’인 만큼 정쟁을 뛰어넘어 단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박 위원장은 기자들에게 “(비대위 인선이) 아직 완결되지 않았다”며 “(비대위 구성 시점은) 내주 초나 그렇게 되지 않을까 싶다. 지금 시국도 이렇고…”라고 말했다. 비대위원 인선은 그의 첫 인사인 데다 당 쇄신의 향배를 가늠하는 중요한 잣대여서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된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