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자원 개발 넘어 '해양강국' 으로 갈 기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SERI.org - 배영일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세계는 해양자원에 주목
석유 매장량의 3분의1 바다에 묻혀…구리·망간·코발트 등 자원 무궁무진
세계최고 조선업과 시너지를
유럽 재정위기로 해양 개발 위축…자원개발기업 인수해 역량 높여야
세계는 해양자원에 주목
석유 매장량의 3분의1 바다에 묻혀…구리·망간·코발트 등 자원 무궁무진
세계최고 조선업과 시너지를
유럽 재정위기로 해양 개발 위축…자원개발기업 인수해 역량 높여야
세계는 지금 심각한 자원 부족 문제에 직면했다. 앞으로 20년간 30억명이 증가할 것으로 추산되는 신흥국 중산층 수요만으로도 1차 에너지 소비가 지금보다 40% 늘어날 전망이다.
고유가 등 원자재 가격 급등도 일시적 현상에 그치기보다는 구조적 문제로 굳어질 가능성이 높다. 가격 상승이 과거 오일쇼크처럼 공급 충격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수요 증가에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중국 호주 브라질 등 자원 부국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자원민족주의’도 이런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한국과 같은 자원 빈국은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막대한 개발 잠재력이 있는 해양자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바다는 지구 표면의 71%를 차지하고 있지만 전체의 10%만 탐사가 이뤄진 미지의 세계다. 가장 깊은 바다로 알려진 비티아즈 해연(수심 1만1034m)에는 아직 인간의 발길이 닿지도 않았다.
지금까지 밝혀진 것만으로도 바다가 안고 있는 자원은 무궁무진하다. 바다에 묻혀 있는 석유는 전 세계 매장량의 3분의 1인 1조6000억배럴에 달한다. 구리 망간 니켈 코발트 등은 최대 1만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 바다에 매장된 것으로 확인됐다. ‘불타는 얼음’으로 불리는 고체가스 메탄하이드레이트는 인류가 5000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 해저에 묻혀 있다.
해양자원 개발은 앞으로 범위가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탐사 및 시추 기술이 발달하면서 해저 3000m가 넘는 심해 자원까지 개발할 수 있게 됐고 석유와 가스 외에 다양한 광물 자원에 대한 탐사도 진행 중이다. 기술 발달과 함께 해양자원 개발의 경제성도 높아졌다.
해양자원의 잠재력에 주목한 세계 각국은 1970년대부터 자국 연안 200해리 이내를 독점적 권리를 누릴 수 있는 ‘배타적 경제수역’으로 지정하는 등 자원 확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인접국 간 충돌도 끊이지 않는다. 일본이 독도를 호시탐탐 넘보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도 근처 해역에 있는 해저 광물자원이다.
해양자원 개발은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도 있다. 육상 건설 및 엔지니어링 부문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춘 한국 기업은 해양자원 개발 분야에서도 세계 일류로 올라설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인 조선업과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만하다.
최근 유럽 재정위기로 해양자원 개발이 다소 위축된 것도 한국 기업에는 기회다. 한국 기업이 경영난에 빠진 해양자원 개발 전문기업을 인수·합병(M&A)하면 단기간에 역량을 높일 수 있다.
장기간 대규모 투자를 진행해야 성과를 얻을 수 있는 해양자원 개발의 특성상 정부 차원의 중·장기 전략도 필요하다. 정부는 에너지는 물론 광물 식량 등 해양자원 전반에 대해 구체적인 개발 전략을 세우고, 학계 및 산업계와 힘을 합쳐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정부는 자원민족주의의 위협을 극복하고 부족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 전략 차원에서 해양자원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그것은 한국이 좁은 국토의 한계를 벗어나 해양강국으로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배영일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seribae@samsung.com>
고유가 등 원자재 가격 급등도 일시적 현상에 그치기보다는 구조적 문제로 굳어질 가능성이 높다. 가격 상승이 과거 오일쇼크처럼 공급 충격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수요 증가에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중국 호주 브라질 등 자원 부국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자원민족주의’도 이런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한국과 같은 자원 빈국은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막대한 개발 잠재력이 있는 해양자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바다는 지구 표면의 71%를 차지하고 있지만 전체의 10%만 탐사가 이뤄진 미지의 세계다. 가장 깊은 바다로 알려진 비티아즈 해연(수심 1만1034m)에는 아직 인간의 발길이 닿지도 않았다.
지금까지 밝혀진 것만으로도 바다가 안고 있는 자원은 무궁무진하다. 바다에 묻혀 있는 석유는 전 세계 매장량의 3분의 1인 1조6000억배럴에 달한다. 구리 망간 니켈 코발트 등은 최대 1만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 바다에 매장된 것으로 확인됐다. ‘불타는 얼음’으로 불리는 고체가스 메탄하이드레이트는 인류가 5000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 해저에 묻혀 있다.
해양자원 개발은 앞으로 범위가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탐사 및 시추 기술이 발달하면서 해저 3000m가 넘는 심해 자원까지 개발할 수 있게 됐고 석유와 가스 외에 다양한 광물 자원에 대한 탐사도 진행 중이다. 기술 발달과 함께 해양자원 개발의 경제성도 높아졌다.
해양자원의 잠재력에 주목한 세계 각국은 1970년대부터 자국 연안 200해리 이내를 독점적 권리를 누릴 수 있는 ‘배타적 경제수역’으로 지정하는 등 자원 확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인접국 간 충돌도 끊이지 않는다. 일본이 독도를 호시탐탐 넘보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도 근처 해역에 있는 해저 광물자원이다.
해양자원 개발은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도 있다. 육상 건설 및 엔지니어링 부문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춘 한국 기업은 해양자원 개발 분야에서도 세계 일류로 올라설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인 조선업과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만하다.
최근 유럽 재정위기로 해양자원 개발이 다소 위축된 것도 한국 기업에는 기회다. 한국 기업이 경영난에 빠진 해양자원 개발 전문기업을 인수·합병(M&A)하면 단기간에 역량을 높일 수 있다.
장기간 대규모 투자를 진행해야 성과를 얻을 수 있는 해양자원 개발의 특성상 정부 차원의 중·장기 전략도 필요하다. 정부는 에너지는 물론 광물 식량 등 해양자원 전반에 대해 구체적인 개발 전략을 세우고, 학계 및 산업계와 힘을 합쳐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정부는 자원민족주의의 위협을 극복하고 부족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 전략 차원에서 해양자원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그것은 한국이 좁은 국토의 한계를 벗어나 해양강국으로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배영일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seribae@sams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