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효성 없는 '영업시간 제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통 나들목
쇼핑 시간대만 달라질 뿐…소비자 지갑 더 닫을 수도
쇼핑 시간대만 달라질 뿐…소비자 지갑 더 닫을 수도
정치권에서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영업시간을 줄인다는 소식이다. 밤샘 영업을 하거나 새벽까지 영업하는 대형마트도 밤 10시에는 문을 닫도록 할 모양이다. 영업시간을 줄이면 매출이 줄고 직원도 덩달아 준다. 매출이 떨어지는데 직원을 늘릴 기업은 없다.
영업시간 제한의 명분으로 중소상인들을 돕기 위한 것이라고 내세웠지만, 중소상인 매출이 늘어날지는 미지수다. 과거 대형마트의 셔틀버스 운행을 금지했을 때도 그랬다. 결과는 오히려 반대로 나타났다. 셔틀버스 다닐 때는 양손에 들 만큼만 사던 소비자들이 자가용으로 가득 싣고 오는 것으로 구매패턴이 변했다. 이번에도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밤 10시 이후 소비자들의 구매행태가 어떤지 곱씹어보면 답은 금방 나온다. 밤 10시 이후 콜라 한 병 사먹으려고 대형마트로 달려가지는 않을 것이다. 구매량이 소량일 때는 가까운 점포를 찾게 마련이다.
시간 여유가 많은 금·토요일 밤에는 사정이 달라질 수 있다. 밤 10시 이후라도 1주일치 먹거리를 사기 위해 대형마트로 갈 수 있다. 그 시간에 대형마트가 문을 닫았다고 이들이 동네가게로 발길을 돌릴까. 합리적인 소비자라면 다음날 낮에 쇼핑가는 방법을 택할 것이다.
백화점 영업시간 제한은 더욱 가관이다. 오후 7시에 문을 닫으라는 것인데, 그 이후에 덕 볼 유통업태가 있을지 궁금하다. 백화점은 많아야 한 달에 한두 번 들르는 곳이다. 품목은 의류나 핸드백과 같은 패션상품이 대부분이다. 백화점이 조금 일찍 문을 닫는다고 해서 동네 로드숍으로 달려갈 소비자는 극히 일부분이다.
독일과 프랑스는 1970년대 초반부터 대형 유통업체에 대한 출점 규제와 영업시간 제한에 열을 올렸다. 1960년대 초반에 등장한 까르푸 메트로 등 기업형 유통업체들이 급성장하자 종업원들의 복지 욕구가 분출했던 데 따른 것이다. 이후 이들 유통업체는 해외시장으로 발길을 돌렸다.
더구나 내년에 3%대의 저성장이 예고되는 판에 대형 점포의 영업시간을 줄이면 소비자들은 지갑을 더 닫게 된다. 작은 점포로 발길을 돌리지 않는다. 구매상품이 전혀 다른 탓이다. 영업시간 제한 법제화로 정치권이 ‘셔틀버스 코미디’를 재연할까 걱정스럽다.
강창동 유통전문기자 cdkang@hankyung.com
영업시간 제한의 명분으로 중소상인들을 돕기 위한 것이라고 내세웠지만, 중소상인 매출이 늘어날지는 미지수다. 과거 대형마트의 셔틀버스 운행을 금지했을 때도 그랬다. 결과는 오히려 반대로 나타났다. 셔틀버스 다닐 때는 양손에 들 만큼만 사던 소비자들이 자가용으로 가득 싣고 오는 것으로 구매패턴이 변했다. 이번에도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밤 10시 이후 소비자들의 구매행태가 어떤지 곱씹어보면 답은 금방 나온다. 밤 10시 이후 콜라 한 병 사먹으려고 대형마트로 달려가지는 않을 것이다. 구매량이 소량일 때는 가까운 점포를 찾게 마련이다.
시간 여유가 많은 금·토요일 밤에는 사정이 달라질 수 있다. 밤 10시 이후라도 1주일치 먹거리를 사기 위해 대형마트로 갈 수 있다. 그 시간에 대형마트가 문을 닫았다고 이들이 동네가게로 발길을 돌릴까. 합리적인 소비자라면 다음날 낮에 쇼핑가는 방법을 택할 것이다.
백화점 영업시간 제한은 더욱 가관이다. 오후 7시에 문을 닫으라는 것인데, 그 이후에 덕 볼 유통업태가 있을지 궁금하다. 백화점은 많아야 한 달에 한두 번 들르는 곳이다. 품목은 의류나 핸드백과 같은 패션상품이 대부분이다. 백화점이 조금 일찍 문을 닫는다고 해서 동네 로드숍으로 달려갈 소비자는 극히 일부분이다.
독일과 프랑스는 1970년대 초반부터 대형 유통업체에 대한 출점 규제와 영업시간 제한에 열을 올렸다. 1960년대 초반에 등장한 까르푸 메트로 등 기업형 유통업체들이 급성장하자 종업원들의 복지 욕구가 분출했던 데 따른 것이다. 이후 이들 유통업체는 해외시장으로 발길을 돌렸다.
더구나 내년에 3%대의 저성장이 예고되는 판에 대형 점포의 영업시간을 줄이면 소비자들은 지갑을 더 닫게 된다. 작은 점포로 발길을 돌리지 않는다. 구매상품이 전혀 다른 탓이다. 영업시간 제한 법제화로 정치권이 ‘셔틀버스 코미디’를 재연할까 걱정스럽다.
강창동 유통전문기자 cd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