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서 돌아온 의궤·도서 특별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제에 빼앗겼다가 100여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온 조선왕실 도서들이 27일 일반에 공개됐다.
국립고궁박물관이 내년 2월5일까지 여는 ‘다시 찾은 조선왕실 의궤와 도서’ 특별전에는 지난 6일 일본에서 돌아온 조선왕실도서 150종 1205책이 모두 나왔다. 이 중 81종 167책 분량인 의궤(儀軌)는 26책 정도 전시되며, 기타 일반 도서 69종 1038책은 서가식으로 꾸몄다.
환수된 의궤는 고종~순종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훼손에 대비해 오대산, 태백산, 강화도 등 지방 사고에 여러 본을 제작해 나눠 배치한 분상용(分上用)이 대부분이다. 1897년 대한제국 선포와 함께 황제 즉위식, 황태자 책봉 등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대례의궤》를 비롯 황실의 혼례, 출산, 잔치, 장례, 어진 제작과 관련된 의궤들을 통해 조선에서 대한제국기에 걸쳐 각종 의례가 변화해가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내년 1월12일 오후 2시 고궁박물관에서는 이번 도서 귀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서지학자 박상국 한국문화유산연구원장이 특별 강연도 한다.
김재일 기자 kjil@hankyung.com
국립고궁박물관이 내년 2월5일까지 여는 ‘다시 찾은 조선왕실 의궤와 도서’ 특별전에는 지난 6일 일본에서 돌아온 조선왕실도서 150종 1205책이 모두 나왔다. 이 중 81종 167책 분량인 의궤(儀軌)는 26책 정도 전시되며, 기타 일반 도서 69종 1038책은 서가식으로 꾸몄다.
환수된 의궤는 고종~순종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훼손에 대비해 오대산, 태백산, 강화도 등 지방 사고에 여러 본을 제작해 나눠 배치한 분상용(分上用)이 대부분이다. 1897년 대한제국 선포와 함께 황제 즉위식, 황태자 책봉 등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대례의궤》를 비롯 황실의 혼례, 출산, 잔치, 장례, 어진 제작과 관련된 의궤들을 통해 조선에서 대한제국기에 걸쳐 각종 의례가 변화해가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내년 1월12일 오후 2시 고궁박물관에서는 이번 도서 귀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서지학자 박상국 한국문화유산연구원장이 특별 강연도 한다.
김재일 기자 kj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