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안철수 '대권 결투' 성사될까
새해엔 20년 만에 국회의원 총선거와 대통령선거가 한 해에 치러진다. 여야는 4월 총선에서 패배하면 대선도 어렵다는 절박감 속에 당 정비에 나서는 등 올인할 태세다.

현재 167석인 여당으로선 과반(150석) 확보를 못하면 이명박 정부 임기 말 국정운영에 차질이 불가피해진다. 각종 법안이나 의결안 등의 단독 처리가 불가능해진다. 현재 한나라당의 상황은 좋지 않다. 10ㆍ26 서울시장 보선에서 드러난 민심이반, 대통령 측근비리 의혹과 ‘디도스 사태’ 등 잇단 악재로 수도권의 상당수 지역구를 내줄 위기에 놓였다. 전통적인 한나라당 강세지역인 부산·경남(PK) 지역도 비상이 걸렸다.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부산저축은행 사태 등으로 민심이 요동치고 있기 때문이다. 야권은 ‘문ㆍ성ㆍ길(문재인ㆍ문성근ㆍ김정길)’ 트리오를 앞세워 전의를 불태우고 있어 여야 간 격돌이 예상된다.

제1야당인 민주통합당은 87석에 불과한 의석 수를 크게 늘려 현 정부의 실정을 파헤친다는 전략이다. 그렇지만 민주통합당 역시 과반의석 확보는 쉽지 않다. 텃밭인 호남(31석) 의석 수가 영남(68석)에 비해 절대적으로 적은 데다 야권 대통합을 이루지 못해 표가 분산될 수 있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조사분석실장은 “야당이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오지만 무소속 또는 군소야당 후보들이 약진할 수 있고 한나라당도 강력한 쇄신에 나서고 있어 과반의석 여부는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대결 여부는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다. 박 위원장은 비대위를 통해 민심을 잡을 쇄신 프로그램을 내놓은 후 총선에서 총력전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총선 성적표가 대권행보에 중요한 갈림길이기 때문이다.

총선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한 바 있는 안 원장은 대선에 궁극적 목표를 둔 만큼, 총선 개입은 최소화하겠다는 판단을 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정치권에선 안 원장의 등판 시기를 야권 대선 후보단일화 시기로 예상되는 7월께로 점치고 있다.

북한발 변수도 관심이다. 김정은을 중심으로 후계체제가 안정화하는 모습이나 조문정국 이후 북한 정세에 따라 선거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선거운동 규제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위헌 결정을 내림에 따라 정치권은 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