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비대위원장의 진화노력에도 불구하고 인적쇄신을 둘러싼 한나라당의 내홍이 깊어지고 있다.

박 위원장은 30일 ‘용퇴론’을 둘러싼 당내 갈등과 관련, “쇄신은 모두의 힘을 모아야 가능하다”며 “쓸데없는 오해나 감정대립은 목표하는 본질을 훼손하고 이루고자 하는 대의를 놓칠 수 있다”고 자제를 요청했다.

김세연 위원도 “초반의 논란이 지나치게 불거지면서 오해가 갈등을 부르고, 비대위의 동력을 떨어뜨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외부 비대위원들의 생각은 달랐다. 김종인 위원은 “인적쇄신이 안 되면 소용이 없다”며 거듭 날을 세웠다. 김 위원은 인적쇄신 대상에 대해 “자신이 무엇을 잘못해 당이 이렇게 됐는지 스스로 잘 알 것이며, 그렇다면 스스로 책임질 생각을 해야 한다”며 “가장 책임져야 할 분들이 책임을 망각하고 상황을 호도하려는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이렇게 해서는 비대위가 성과를 거둘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변신의 모습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것은 정치적 결단”이라며 “(인적 쇄신은) 친이(친이명박)계만 해당되는 게 아니라 친박(친박근혜)계도 국회의원의 기능을 하지 못했다면 똑같이 책임져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홍준표 전 대표는 한 라디오 방송에서 “쇄신 전반이 도덕성과 강한 추진력을 가지려면 불투명한 국가관을 가진 사람과 부패한 사람은 사퇴시키는 것이 맞다”며 김종인ㆍ이상돈 비대위원의 사퇴를 공개 촉구했다.

한편 비대위는 선거구 획정을 논의 중인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의 이해관계 당사자 의원 전원을 교체키로 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