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금투협회장 선거 D-1, 중소형사 표심이 승부 가를 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차기 한국금융투자협회 회장을 뽑는 선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당선자는 '과반수 찬성(회원사 과반수 출석)'을 얻어내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득표율 1, 2위를 대상으로 2차 투표가 진행된다.
협회장은 매년 600억원 이상의 예산을 집행할 수 있으며 공식 연봉은 5억원을 웃돈다. 또 판공비(약 2~3억원)를 포함하면 협회장은 한 해 최대 8억원 가량의 돈을 쓸 수 있다. 금융업계 협회장 중 최고 연봉 수준이다.
8년 만에 바뀌는 협회장(옛 증권업협회 포함) 자리를 놓고 여의도 금융투자업계가 시끌벅적 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협회 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주 김성태 전(前) 대우증권 사장, 박종수 전 우리투자증권 사장, 최경수 현대증권 사장 등 3명을 최종 후보로 결정, 기존 6명이던 후보군을 절반으로 압축했다. 이들 모두 대형 증권사 사장을 엮임했다.
금투협 노조 등 일각에선 이를 두고 '협회장 선거가 대형사들의 잔치로 전락했다'고 비난하고 있다.
그렇지만 정작 중소형 증권사 및 자산운용사들의 '표심'을 얻어야만 확실한 당선이 가능할 것이란 분석이 우세해 지고 있다. 그 이유는 바로 모든 회원사들이 '투표권'을 가지고 있어서다.
투표권은 현재 62개 증권사, 81개 자산운용사, 7개 선물사, 11개 부동산신탁회사 등 정회원 161곳에 '1표'씩 부여된다. '1사 1표'가 원칙이다. 이는 전체 투표 비중에서 70%를 차지한다.
나머지 30%에 해당되는 투표권은 협회비 분담 비율에 따라 배분된다. 협회비를 많이 낸 곳은 1표 당 약 2.0표의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지만, 반대로 일부는 최저 0.4표의 투표권 밖에 행사할 수 없다.
얼핏 보면 투표권에 '가중치'가 더해진 대형사들의 '표심'이 선거의 승부를 가를 것으로 보이지만, 대형사에 비해 셀 수 없이 많은 중소형사들의 표심을 무시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무엇보다 정회원 수에서 압도적인 자산운용사들이 뜻을 모으면 선거 판세는 가늠하기 어려워 진다는 시각도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가중치를 부여한 뒤 투표 비중은 전체 100% 중 증권사 50%, 자산운용사 40%, 기타 10% 정도로 나뉜다. 결국 덩치가 작은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들의 표심을 자극하지 못하면 과반수 찬성이 어려워 질 수 있다는 얘기다.
더욱이 운용사 상당수가 계열 증권사와 같이 동일 후보에 투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들의 향방이 코 앞으로 다가온 이번 협회장 선거 결과를 좌우할 수도 있을 것이란 지적이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2009년 협회 통합 이후로 증권사에 비해 자산운용사들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 이제 80여곳에 이른다"면서 "이들이 한 목소리를 낼 경우 1차 선거 결과는 불투명해 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차기 협회장 1차 선거는 26일 협회 3층 불스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한경닷컴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
당선자는 '과반수 찬성(회원사 과반수 출석)'을 얻어내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득표율 1, 2위를 대상으로 2차 투표가 진행된다.
협회장은 매년 600억원 이상의 예산을 집행할 수 있으며 공식 연봉은 5억원을 웃돈다. 또 판공비(약 2~3억원)를 포함하면 협회장은 한 해 최대 8억원 가량의 돈을 쓸 수 있다. 금융업계 협회장 중 최고 연봉 수준이다.
8년 만에 바뀌는 협회장(옛 증권업협회 포함) 자리를 놓고 여의도 금융투자업계가 시끌벅적 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협회 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주 김성태 전(前) 대우증권 사장, 박종수 전 우리투자증권 사장, 최경수 현대증권 사장 등 3명을 최종 후보로 결정, 기존 6명이던 후보군을 절반으로 압축했다. 이들 모두 대형 증권사 사장을 엮임했다.
금투협 노조 등 일각에선 이를 두고 '협회장 선거가 대형사들의 잔치로 전락했다'고 비난하고 있다.
그렇지만 정작 중소형 증권사 및 자산운용사들의 '표심'을 얻어야만 확실한 당선이 가능할 것이란 분석이 우세해 지고 있다. 그 이유는 바로 모든 회원사들이 '투표권'을 가지고 있어서다.
투표권은 현재 62개 증권사, 81개 자산운용사, 7개 선물사, 11개 부동산신탁회사 등 정회원 161곳에 '1표'씩 부여된다. '1사 1표'가 원칙이다. 이는 전체 투표 비중에서 70%를 차지한다.
나머지 30%에 해당되는 투표권은 협회비 분담 비율에 따라 배분된다. 협회비를 많이 낸 곳은 1표 당 약 2.0표의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지만, 반대로 일부는 최저 0.4표의 투표권 밖에 행사할 수 없다.
얼핏 보면 투표권에 '가중치'가 더해진 대형사들의 '표심'이 선거의 승부를 가를 것으로 보이지만, 대형사에 비해 셀 수 없이 많은 중소형사들의 표심을 무시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무엇보다 정회원 수에서 압도적인 자산운용사들이 뜻을 모으면 선거 판세는 가늠하기 어려워 진다는 시각도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가중치를 부여한 뒤 투표 비중은 전체 100% 중 증권사 50%, 자산운용사 40%, 기타 10% 정도로 나뉜다. 결국 덩치가 작은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들의 표심을 자극하지 못하면 과반수 찬성이 어려워 질 수 있다는 얘기다.
더욱이 운용사 상당수가 계열 증권사와 같이 동일 후보에 투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들의 향방이 코 앞으로 다가온 이번 협회장 선거 결과를 좌우할 수도 있을 것이란 지적이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2009년 협회 통합 이후로 증권사에 비해 자산운용사들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 이제 80여곳에 이른다"면서 "이들이 한 목소리를 낼 경우 1차 선거 결과는 불투명해 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차기 협회장 1차 선거는 26일 협회 3층 불스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한경닷컴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