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조(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가 "노사 대표가 올해 안에 모든 사내하청(비정규직) 노동자를 정규직화하는데 합의하자"고 제안했다.

노조는 30일 울산공장 노조사무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노사협상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자"면서 이같이 밝혔다.

노조는 주간 연속 2교대 시행과 관련, "사측이 (주간 2교대를 위해) 제시한 생산량 증가분(30만대 분량)을 감당할 수 있도록 30만대 생산설비를 증설하고 총 3천500명 이상의 대규모 신규인력을 충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는 청년실업해소,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장시간 노동해소에도 꼭 필요한 조치"라며 "이런 노사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최고경영자에게 오는 2월10일 노사대표 회동을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최근 휴일근로를 연장근로에 포함하는 등 장시간 노동을 없애려는 정부방침과 관련, "원칙적으로 찬성한다"며 "휴일근로 내용을 담은 근로기준법(제53조1항)에 대한 새로운 행정해석만 내놓으면 되는데 법을 개정하려는 것은 진정성이 결여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타사에 비해 낮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공장증설 없이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감소를 만회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며 "사내하청의 정규직화는 노사간 합의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노조는 이와 함께 조합원 1천500명을 상대로 벌인 여론조사에서 올해 노조가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로 가장 많은 52.3%가 주간 2교대와 월급제를 꼽았다고 결과를 공개했다.

이 여론조사에서는 24.2%가 기본급 중심의 생활임금 향상, 11.5%가 근로시간 면제제도(타임오프) 폐기와 노동법 전면개정, 7.3%가 비정규직 문제 해결 등의 순으로 답했다.

또 노조가 제안한 최고경영자와의 만남에는 92%가, 노조 차원에서 비정규직문제를 해결하자는데는 84%가, 노조의 정치세력화 추진에는 53%가 각각 찬성의견을 내놨다.

그러나 회사 측과 대화로 해결이 안 돼 쟁의행위를 한다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물음에는 조합원의 61.2%가 참여하겠다고 응답했다.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you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