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 세바퀴 1080도 회전…1.4초 '찰나의 예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과학으로 풀어보는 런던올림픽 (1) 도마
양학선 '난도 7.4' 신기술…국제제조연맹 '양1' 명명
구름판 박차는 각도 70도
1초에 무려 748도 회전…3m 높이서 5.5m 날아야
양학선 '난도 7.4' 신기술…국제제조연맹 '양1' 명명
구름판 박차는 각도 70도
1초에 무려 748도 회전…3m 높이서 5.5m 날아야
런던올림픽이 5개월여 앞으로 다가왔다. 오는 7월27일 개막을 앞두고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과 공동으로 올림픽 종목에 숨겨진 과학의 원리를 재미있게 풀어내는 기획기사를 10회 연재한다.
김연아에게 트리플러츠가 있다면 체조 국가대표 양학선(21)에겐 도마(뜀틀) ‘공중 세 바퀴(1080도) 회전’이 있다. 링 철봉 마루 등 체조의 남자 6개 세부 종목 중 하나인 도마는 발구름에서 착지까지 단 1.42~1.46초밖에 걸리지 않는 ‘찰나의 예술’이다.
◆7.4 최고 난도 신기술
양학선은 지난해 7월 고양에서 열린 코리아컵 국제체조대회에서 도마 사상 처음으로 공중 세 바퀴 회전이라는 최고 난도의 신기술을 선보이며 세계를 놀라게 했다. 양학선은 빠르게 도움닫기를 한 뒤 구름판을 정면으로 밟고 도마를 양손으로 짚으며 한 마리 새처럼 하늘로 뛰어올랐다. 양손을 가슴에 모은 채 몸통을 비틀어 세 바퀴 돈 뒤 매트에 착지했다. 성공이었다.
불가능할 것만 같았던 신기술이 눈앞에서 구현되자 국제체조연맹(FIG) 관계자들은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이 신기술로 지난해 10월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경쟁 선수들을 압도하며 금메달을 따냈다. FIG는 이 신기술을 양학선의 이름을 따 ‘양1’으로 명명하고 난도를 역대 최고인 7.4점으로 정했다.기존 최고 난도 기술은 공중에서 두 바퀴 반(900도) 회전 기술인 ‘여2’로 난도가 7.0이다.
◆회전 관성 유지가 관건
양학선은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의 연구 및 지원을 통해 이 신기술의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체조 담당인 송주호 체육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공중 세 바퀴 회전을 완벽하게 구사하려면 회전 관성을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1차적으로 공중에서 세 바퀴를 회전하려면 체공 높이가 충분히 확보돼야 한다. 양학선은 이 기술을 구사할 때 공중으로 약 3m 솟구쳤다. 수평 이동거리만 5.5m나 됐다. 이를 위해 구름판을 밟는 순간 허벅지의 회전을 최대한 끌어올려 제1 비약에서 힘을 받아야 한다.
이상적인 동작에서 구름판을 밟을 때 대퇴부 회전 각속도는 초당 748도에 달한다. 실패했을 때보다 초당 100도 가량 빠르다. 이후 도마를 양팔로 짚고 점프를 시작할 때 몸 전체를 빠르게 회전시켜 제2 비약에서 회전 관성을 최대한 확보해야 세 번의 공중회전을 마칠 수 있다. 주의할 것은 제2 비약에서 올라갈 땐 속도가 빨라야 하지만 내려올 땐 안전한 착지를 위해 속도를 줄여야 한다는 것.
점프할 때 공중으로 솟는 각도도 중요하다. 송 선임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구름판을 박차고 나갈 때 각도가 70도, 도마를 짚고 뛰어오를 땐 25도를 유지했다.
송 선임연구원은 “도마에서 금메달 여부는 약 1.4초라는 짧은 시간에 결정되기 때문에 한 번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는다”며 “도마야말로 찰나의 스포츠로서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런던에서 양학선이 도마 기술을 구사할 때 어느 정도 회전력을 확보하고 어느 각도로 점프하는지를 눈여겨 본다면 메달 색깔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
김연아에게 트리플러츠가 있다면 체조 국가대표 양학선(21)에겐 도마(뜀틀) ‘공중 세 바퀴(1080도) 회전’이 있다. 링 철봉 마루 등 체조의 남자 6개 세부 종목 중 하나인 도마는 발구름에서 착지까지 단 1.42~1.46초밖에 걸리지 않는 ‘찰나의 예술’이다.
◆7.4 최고 난도 신기술
양학선은 지난해 7월 고양에서 열린 코리아컵 국제체조대회에서 도마 사상 처음으로 공중 세 바퀴 회전이라는 최고 난도의 신기술을 선보이며 세계를 놀라게 했다. 양학선은 빠르게 도움닫기를 한 뒤 구름판을 정면으로 밟고 도마를 양손으로 짚으며 한 마리 새처럼 하늘로 뛰어올랐다. 양손을 가슴에 모은 채 몸통을 비틀어 세 바퀴 돈 뒤 매트에 착지했다. 성공이었다.
불가능할 것만 같았던 신기술이 눈앞에서 구현되자 국제체조연맹(FIG) 관계자들은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이 신기술로 지난해 10월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경쟁 선수들을 압도하며 금메달을 따냈다. FIG는 이 신기술을 양학선의 이름을 따 ‘양1’으로 명명하고 난도를 역대 최고인 7.4점으로 정했다.기존 최고 난도 기술은 공중에서 두 바퀴 반(900도) 회전 기술인 ‘여2’로 난도가 7.0이다.
◆회전 관성 유지가 관건
양학선은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의 연구 및 지원을 통해 이 신기술의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체조 담당인 송주호 체육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공중 세 바퀴 회전을 완벽하게 구사하려면 회전 관성을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1차적으로 공중에서 세 바퀴를 회전하려면 체공 높이가 충분히 확보돼야 한다. 양학선은 이 기술을 구사할 때 공중으로 약 3m 솟구쳤다. 수평 이동거리만 5.5m나 됐다. 이를 위해 구름판을 밟는 순간 허벅지의 회전을 최대한 끌어올려 제1 비약에서 힘을 받아야 한다.
이상적인 동작에서 구름판을 밟을 때 대퇴부 회전 각속도는 초당 748도에 달한다. 실패했을 때보다 초당 100도 가량 빠르다. 이후 도마를 양팔로 짚고 점프를 시작할 때 몸 전체를 빠르게 회전시켜 제2 비약에서 회전 관성을 최대한 확보해야 세 번의 공중회전을 마칠 수 있다. 주의할 것은 제2 비약에서 올라갈 땐 속도가 빨라야 하지만 내려올 땐 안전한 착지를 위해 속도를 줄여야 한다는 것.
점프할 때 공중으로 솟는 각도도 중요하다. 송 선임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구름판을 박차고 나갈 때 각도가 70도, 도마를 짚고 뛰어오를 땐 25도를 유지했다.
송 선임연구원은 “도마에서 금메달 여부는 약 1.4초라는 짧은 시간에 결정되기 때문에 한 번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는다”며 “도마야말로 찰나의 스포츠로서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런던에서 양학선이 도마 기술을 구사할 때 어느 정도 회전력을 확보하고 어느 각도로 점프하는지를 눈여겨 본다면 메달 색깔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