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재정위기로 기업들이 상장을 미룬 탓에 공모주 품귀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갈 곳 없는 부동자금이 몰려 일반공모 경쟁률이 1000대 1을 넘는 기업이 속출하고 있다.

1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신규 상장기업은 12곳, 2월은 5곳이었던데 반해 올 1월은 2곳, 2월은 뉴로스를 비롯해 사람인, 휴비스 등 총 3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이 신규 상장기업들이 씨가 마르다 보니 공모주 청약 경쟁률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이달 중 상장예정인 터보기기 제조업체 뉴로스의 공모주 최종 청약 경쟁률은 1225대 1에 달했다. 일반 배정 물량 15만주에 8000억원 이상의 청약 증거금이 몰렸다.

리크루팅 전문기업 사람인에이치알의 경우 지난 9일과 10일 이틀간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공모주 청약에서 경쟁률이 1057.8대 1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에도 마찬가지였다. 올해 처음으로 코스닥시장에 발을 내딛은 동아팜텍의 경쟁률은 543대 1을 기록했고 증거금은 3조원 가까이 몰렸다. 남화토건의 공모주 청약 경쟁률은 1269대 1이었다.

변준호 유진투자증권 스몰캡 팀장은 "지난해 불확실한 경기 여파로 올해 초 공모주가 드물다 보니 경쟁률이 기본적으로 1000대 1을 넘어가고 있다"며 "특히 중형주 위주의 장세가 펼쳐질 것이란 기대가 있어 자금이 더 몰리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다만 공모가 거품 논란이 여전한 만큼 투자자들에게는 주의가 요구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상장한 73개 종목의 공모가 대비 평균 수익률은 상장 당일 25%에서 1개월 후 13%로 급락했다. 6개월이 경과한 종목들의 수익률은 5%로 떨어졌다. 높은 공모가로 인해 상장 이후 주가가 계속 하락하고 있다는 의미다.

변 팀장은 "과거에는 기업들이 상장 전 제시한 실적 가이던스를 지키지 못한 경우도 많았다"며 "공모가는 곧 실적과 연계되는 것이므로 이를 꼼꼼히 따지고,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과 그 산업 내에서 위치를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최근 코스피지수가 2000선을 회복하면서 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기업들이 많다"며 "앞으로는 공모주 시장도 활성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올해에는 현대오일뱅크, LG실트론, CJ헬로비전 등 대기업 계열사들이 증시 입성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공모주 시장이 침체기에서 벗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경닷컴 김효진 기자 ji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