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3천여명 사전대피..대북감시자산 총가동

20일 오전에 실시된 백령도와 연평도 등 서북도서 지역의 해병대 해상사격훈련이 종료됐다.

우려됐던 북한의 도발행위는 없었다.

합동참모본부의 한 관계자는 이날 정오 기자와 만나 "이날 오전 9시30분부터 2시간가량 서북도서 지역에서 해상사격훈련을 했다"면서 "백령도와 연평도 등의 해병부대에 배치된 편제 화기의 성능 확인과 서북도서방위사령부의 전투력 유지를 위해 진행된 통상적인 훈련"이라고 밝혔다.

훈련 시간 북한군은 증강된 대비태세를 유지했으나 현재까지 특이한 군사동향은 포착되지 않고 있다고 합참은 전했다.

그러나 군은 현재 서해에서 한미연합 잠수함훈련이 진행 중이고, 오는 27일부터 키 리졸브 연합훈련이 예정돼 있어 북한군의 동향을 계속해서 정밀감시하기로 했다.

이번 훈련에는 해병부대에 배치된 K-9 자주포(사정 40여㎞), 105㎜(사정 13㎞)ㆍ81㎜(사정 4.7㎞) 박격포, 20㎜ 벌컨포(사정 1.8㎞)를 비롯한 AH-1S 코브라 공격헬기가 동원됐다.

포탄은 예년 수준인 5천여발 가량 발사됐으며, 백령도와 연평도 남서방, 남동방 해상 등 남측 관할수역에 모두 떨어졌다.

통상적 연례 훈련임을 확인하기 위해 유엔사 군정위 요원들이 참관했다.

군은 북한군의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전방사단의 포병 화력을 모두 대기상태로 유지했으며, 음향탐지장비(할로)와 대포병탐지레이더(아서) 등 전방지역의 대북감시자산을 총가동했다.

해병대 백령ㆍ연평부대는 북한군의 도발에 대비해 주민들을 사전에 안전지역으로 대피시킨 후 훈련을 시작했다.

훈련 종료와 함께 주민 대피령도 해제됐다.

이와 관련, 인천시 옹진군은 서해 5도 주민 3천여명이 대피소로 몸을 피했다고 설명했다.

옹진군은 19일에 이어 이날 오전 8시부터 30분 간격으로 마을 주민에게 대피 안내 방송을 내보냈다.

직원들이 동원돼 주민들이 안전하게 대피소로 이동하는 것을 도왔다.

앞서 북한군 전선서부지구사령부는 19일 이번 훈련에 대한 '공개경고장'을 통해 "군사적 도발이 시작되면 무자비한 대응타격이 개시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서울ㆍ인천연합뉴스) 김귀근 최정인 기자 threek@yna.co.kr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