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전국 10개소 설치..첨단 시설 갖춰

전국 시ㆍ군ㆍ구 208곳에 떨어져 있는 예비군 훈련장이 첨단 시설을 갖춘 예비군훈련대(센터) 10곳으로 통합된다.

국방부는 2013년부터 2020년까지 1천400억원을 투입해 대대급 예비군훈련장을 연대급 훈련장으로 통합, 서울ㆍ광주ㆍ대구ㆍ대전ㆍ부산ㆍ울산ㆍ인천 등 10개소에 예비군훈련센터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최대 1천500명의 동시 훈련이 가능한 훈련센터에는 과학화된 훈련시설이 들어선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훈련장을 비롯해 마일즈 장비를 갖춘 과학화훈련장, 전술훈련장, 시가지전투훈련장 등이 마련된다.

예비군 편의시설과 인근 주민을 위한 안보교육관도 생긴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지금 훈련장은 많이 낡았고 규모가 작아 이를 통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면서 "미래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첨단 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에 근접성이 뛰어난 지역에 훈련장을 설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훈련센터별로 전담교관을 배치해 전문화된 훈련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 연중 상시 운영하도록 해 예비군이 전국 어디서나 휴일에 상관없이 본인이 선택한 날짜와 장소에서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관계자는 "내년 하반기에 경기도 남양주에서 시험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라면서 "최종적으로는 작전환경을 고려, 2030년까지 시ㆍ군ㆍ구까지 훈련센터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국방부는 북한 특수전부대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편성한 예비군 저격수와 특전예비군 부대의 실전훈련을 강화하기로 했다.

지난해 3만여명이 편성된 예비군 저격수는 올해 개인화기 조준경 2천100여대를 확보, 실거리 사격훈련을 강화하기로 했다.

현재 일반 예비군은 15발을, 예비군 저격수는 39발을 사격하도록 돼 있다.

특전예비군 부대는 올해 연 1회 향방작계훈련을 실시하고 인근지역 특전부대에서 1박2일간 입영훈련을 실시한다.

국방부는 또 기존 연 6천회 실시했던 예비군 훈련시 안보교육을 올해부터는 7천700회로 늘리기로 하고 일반, 동원훈련 교육단체로 각각 국가전략연구원과 국가발전미래교육협회의를 각각 선정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현장 교육에 참여한 예비군의 평가를 일정부분 반영해 수용자 의견을 반영하도록 하겠다"면서 "특히 선거와 관련해 정치적 중립을 유지하도록 강조하고 이를 어길 시에는 해당 단체와 계약을 해지하는 등 강력하게 제재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noma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