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 관리 45년 노하우 살려 국내 물산업 해외진출 이끌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over Story - 한국수자원공사
기고 / 수자원공사에 바란다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역량 보유
건설사와 협력도 시너지 클 것
기고 / 수자원공사에 바란다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역량 보유
건설사와 협력도 시너지 클 것
21세기 물산업이 20세기 석유산업에 버금가는 ‘블루 골드(blue gold)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 물시장은 매년 약 6.5%의 급속한 성장을 이룰 전망이다. 이와 같은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2025년 글로벌 물시장 규모는 8650억달러(1038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글로벌 물시장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피해 속출로 하천의 종합적 개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물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선 21세기 ‘블루 골드 시장’을 주도할 유망 첨단 기술을 실용화해야 한다. 첨단 여과막, 스마트 물 관리 등 해외 물시장을 주도할 기술개발을 위해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리고, 정보통신 분야 기술과 물 관리 기술을 융합한 한국형 고유 기술을 개발해 해외 기술과 차별화를 도모해야 한다.
우리나라 물산업은 정부 주도의 상·하수도 보급 확대 정책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해 왔다. 물산업 규모는 국내총생산(GDP)의 1.3% 수준(10조원)으로, 세계에서 8번째로 큰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가 건설운영 중인 광역상수도 사업은 전국적인 통합 운영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수준의 물 운영 기술과 수질 분석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상·하수도 보급률이 각각 92.7%, 88.6%에 달해 신규 확장 중심의 국내 물산업 성장은 한계에 이르렀다. 수자원공사는 수자원 관리 분야에서도 다목적댐 건설 및 운영관리를 통해 지난 40여년간 노하우를 축적해왔다. 최근 4대강 살리기, 경인아라뱃길 사업 등을 통해 유역 및 수문 조사 기술, 지진감시 시스템, 치수이수 관리, 홍수관리 시스템, 홍수 예경보 시스템, 수력발전, 발전 통합운영 시스템 등 통합 유역관리 관련 부문에서 세계 최고의 수자원 기술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4대강 살리기 사업은 계획, 지역 개발, 재해 안전, 수자원 확보 등을 포괄하는 종합 프로젝트로 전 세계에서 가장 앞선 물 관리 기술로 무장한 대표적인 플래그십(flagship) 프로젝트라고 할 만하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을 통해 획득한 물 관리 분야 기후변화 적응 기술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해외 물시장을 적극 개척해야 한다. 국내 물산업의 해외 진출에 있어 우리나라가 갖고 있는 강점은 세계 최고 수준의 수주 경쟁력을 확보한 건설업이다. 이 분야는 매년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플랜트 엔지니어링 등 고부가가치 중심으로 수주 구조가 고도화하고 있다. 이런 해외 건설 수주 경쟁력을 기반으로 민간 건설업체와 공공 부문의 운영기업이 해외 물 인프라 시장을 함께 공략하는 해외 진출 추진 전략이 필요하다. 최근 수자원공사와 민간 건설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주한 파키스탄 파트린드 수력발전 사업이 이런 협력 경영 모델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상·하수도 분야 국내 물산업은 대부분 중소벤처기업이 맡고 있어 독자적인 해외 진출이 곤란한 게 현실이다. 따라서 물 전문 공기업이 중소벤처기업 육성 및 해외 진출의 앵커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필요하다. 싱가포르와 이스라엘에서는 PUB와 메코로트(Mekorot) 등 물 관련 공기업이 물산업 클러스터를 주도함으로써 국가 물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전국에 산재한 물 인프라 운영시설과 전문 기술인력을 확보하고 있는 수자원공사를 중심으로 물산업 분야 연구·개발과 신기술 실증을 해 나가면 국제경쟁력을 갖춘 물산업을 조기에 구축할 수 있다고 본다.
윤주환 <고려대 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국내 물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선 21세기 ‘블루 골드 시장’을 주도할 유망 첨단 기술을 실용화해야 한다. 첨단 여과막, 스마트 물 관리 등 해외 물시장을 주도할 기술개발을 위해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리고, 정보통신 분야 기술과 물 관리 기술을 융합한 한국형 고유 기술을 개발해 해외 기술과 차별화를 도모해야 한다.
우리나라 물산업은 정부 주도의 상·하수도 보급 확대 정책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해 왔다. 물산업 규모는 국내총생산(GDP)의 1.3% 수준(10조원)으로, 세계에서 8번째로 큰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가 건설운영 중인 광역상수도 사업은 전국적인 통합 운영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수준의 물 운영 기술과 수질 분석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상·하수도 보급률이 각각 92.7%, 88.6%에 달해 신규 확장 중심의 국내 물산업 성장은 한계에 이르렀다. 수자원공사는 수자원 관리 분야에서도 다목적댐 건설 및 운영관리를 통해 지난 40여년간 노하우를 축적해왔다. 최근 4대강 살리기, 경인아라뱃길 사업 등을 통해 유역 및 수문 조사 기술, 지진감시 시스템, 치수이수 관리, 홍수관리 시스템, 홍수 예경보 시스템, 수력발전, 발전 통합운영 시스템 등 통합 유역관리 관련 부문에서 세계 최고의 수자원 기술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4대강 살리기 사업은 계획, 지역 개발, 재해 안전, 수자원 확보 등을 포괄하는 종합 프로젝트로 전 세계에서 가장 앞선 물 관리 기술로 무장한 대표적인 플래그십(flagship) 프로젝트라고 할 만하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을 통해 획득한 물 관리 분야 기후변화 적응 기술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해외 물시장을 적극 개척해야 한다. 국내 물산업의 해외 진출에 있어 우리나라가 갖고 있는 강점은 세계 최고 수준의 수주 경쟁력을 확보한 건설업이다. 이 분야는 매년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플랜트 엔지니어링 등 고부가가치 중심으로 수주 구조가 고도화하고 있다. 이런 해외 건설 수주 경쟁력을 기반으로 민간 건설업체와 공공 부문의 운영기업이 해외 물 인프라 시장을 함께 공략하는 해외 진출 추진 전략이 필요하다. 최근 수자원공사와 민간 건설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주한 파키스탄 파트린드 수력발전 사업이 이런 협력 경영 모델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상·하수도 분야 국내 물산업은 대부분 중소벤처기업이 맡고 있어 독자적인 해외 진출이 곤란한 게 현실이다. 따라서 물 전문 공기업이 중소벤처기업 육성 및 해외 진출의 앵커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필요하다. 싱가포르와 이스라엘에서는 PUB와 메코로트(Mekorot) 등 물 관련 공기업이 물산업 클러스터를 주도함으로써 국가 물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전국에 산재한 물 인프라 운영시설과 전문 기술인력을 확보하고 있는 수자원공사를 중심으로 물산업 분야 연구·개발과 신기술 실증을 해 나가면 국제경쟁력을 갖춘 물산업을 조기에 구축할 수 있다고 본다.
윤주환 <고려대 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