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제조업 근로자들은 연평균 2천287시간을 일해 주요 업종 중에서 근로시간이 가장 길었던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 근로시간은 2천116시간으로 장시간 근로 관행이 여전했습니다. 11일 고용노동부의 사업체노동력조사(5인 이상)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월평균 근로시간은 176.3시간, 연간으로는 2천116시간에 달했습니다. 이는 전년인 2010년 월평균 176.7시간, 연간 2천120시간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했지만 지난해 근로일수가 2010년에 비해 3일 가량 적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 근로시간은 오히려 늘었다는 것이 고용부의 설명입니다. 지난해 연간 근로시간은 OECD 평균인 1천749시간(2010년 기준)에 비해서 400시간 가량 많은 것으로, 2012년까지 실근로시간을 2천시간 아래로 떨어뜨리겠다는 정부 목표와도 여전히 거리가 멉니다. 주요 업종별로 지난해 근로시간을 살펴보면 제조업이 월평균 190.6시간, 연간 2천287시간으로 부동산 및 임대업(월 194.2시간, 연 2천330시간)을 제외하고는 가장 길었습니다. 법정 주 40시간 근로제에 따른 연간 근로시간인 2천80시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제조업 근로자들은 지난해 207시간의 연장근로를 한 셈입니다. 통계상 근로시간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난 부동산 및 임대업의 경우 저녁 늦게나 주말에도 문을 여는 부동산 중개소 등의 특징에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제조업에 이어 광업(2천243시간), 숙박 및 음식점업(2천234시간) 등도 연간 근로시간이 2천200시간이 넘었습니다. 이어 운수업(2천179시간), 전기ㆍ가스ㆍ증기 및 수도사업(2천125시간), 도매 및 소매업(2천101시간) 등도 장시간 근로 관행이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숙박 및 음식점업, 운수업, 도매 및 소매업 등은 현행 근로시간특례업종에 속합니다. 이들 업종은 노사 합의 시 연장근로에 제한을 받지 않아 실제 근로시간이 타 업종 대비 긴 편으로 분석됐습니다. 한국경제TV 핫뉴스 ㆍ`동전 1개가 12억원에 낙찰` ㆍ[TV] 세계속 화제-세계 여성의 날 맞아 시위·기념 행사 ㆍ엘리베이터인 줄 알았어요, 장난천재의 승강기주택 `우리집 문 열지마` ㆍ故손문권PD 여동생, 임성한 작가 고소 예정... ㆍ오수민, 동갑내기 사업가와 4월 결혼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