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자살 고위험군을 관리, 자살률을 대폭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자살 시도자가 다시 자살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은 점을 감안해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 시도자 등을 중심으로 이들을 관리할 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것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자살률을 줄이기 위해 자살 시도자 등 고위험군 관리 방안이 시급하다" 며 "자살 시도자는 응급실을 거치는 경우가 대다수여서 이들에 대한 특별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금까지 자살예방사업은 고위험군을 관리하는 체계가 전혀 없었던 게 사실" 이라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생명 존중과 자살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살 예측률이 높은 이들을 관리하는 것이 실질적인 자살예방 사업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 교수는 "자살 시도자들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바탕으로 꾸준히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며 "우울증과 질병, 경제적 문제 등 자살 시도자들의 삶을 추적해 유형별로 다면 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자살 예방을 전담하는 중앙자살예방센터가 본격 운영에 들어가 자살 고위험군의 조기 발견과 관리 등을 위한 전문 인력 양성과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 등의 개발도 본격화되고 있다.

박종익 센터장은 "자살 고위험군을 발굴하는 '지역 게이트키퍼'를 대거 양성할 것" 이라며 "정부가 자살 예방사업을 본격화 하는 만큼 우리 실정에 맞는 자살 예방 인프라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