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은 물론 언론·정치·민간인을 아우르는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전방위 불법 사찰을 규탄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일각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이 총체적인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는 강경론도 제기된다. 전국언론노동조합(위원장 이강택)은 2일 오후 서울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명박정권의 총체적인 헌정유린 범죄행위에 대해 이 대통령이 책임을 지고 하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언론노조는 “이명박정권은 임기 초반부터 국정원·통신비밀보호법을 개정하고 테러방지법을 제정해 법원의 허가 없이 휴대전화, 이메일, 메신저 등을 감청할 수 있도록 해 왔다”며 “공직자 합법감찰도 이 정권이 들어서면서 민간인 불법사찰이 됐다”고 비판했다.


이강택 위원장은 “지금까지 드러난 건 빙산의 일각”이라며 “청와대의 구체적 지시가 있었다는 게 속속 드러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불법사찰 파문을 최초로 보도한 KBS새노조도 같은 날 한국진보연대 등과 함께 서울 통인동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종익 전 KB한마음 대표 뿐 아니라 서울대병원 노조, 산부인과 원장 등 민간인 불법사찰과 은폐 의혹이 사실로 드러났다”며 향후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한편 민주통합당 법제사법위원회(위원장 우윤근)는 이날 오후 “불법사찰 파문을 철저하게 수사하라”며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을 항의 방문했다. 이들은 △권재진 법무부 장관 사퇴 △특임검사제 도입 등을 촉구했다.



이지훈/박상익 기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