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北, 외국기자 초청 선전활용 우려"

미국 정부는 10일(현지시간) 북한의 장거리로켓 발사 계획과 관련, 심각한 `도발(provocation)' 행위라고 거듭 비난하며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플로리다주(州) 팜비치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강행한다면 이는 유엔 안보리 결의와 미사일발사 중단 약속을 명백하게 어기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카니 대변인은 그러면서 "북한이 이런 도발을 감행한다면 우리는 동맹국들과 다음 조치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면서 "이 문제에 대해 동맹국들과 지속적으로 공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북한이 주민들을 먹여 살리고, 교육하고, 고립에서 벗어나기 위한 길을 갈 수 있도록 영향력을 가진 나라들에게 설득을 촉구하고 있다"면서 중국 등의 `역할'을 압박했다.

글린 데이비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도 이날 워싱턴DC의 피터슨연구소에서 열린 북한 정치범수용소 관련 세미나에서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북한의 (로켓) 발사에 대해 통일된 메시지를 전하도록 국제사회와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데이비스 대표는 "6자회담 참가국 가운데 (북한을 제외한) 5개 나라의 메시지는 같다"면서 "북한의 의도는 안정을 해치는 도발 행위"라고 지적했다.

한편 미 정부는 북한 초청으로 로켓발사 준비 현장을 취재, 보도하고 있는 미국 등 외국 언론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다.

빅토리아 눌런드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언론사의 취재는 자신들이 선택할 문제"라면서도 "북한이 이를 선전 목적으로 이용하고, 언론사들이 이를 광범위하게 취재함으로써 이에 부응하는 것에 대해서는 분명히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분명히 뉴스가치가 있는 일이지만 더 많이 취재하면 할수록 주요 뉴스로 보도되고, 이는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토미 비에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지난 9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이 로켓발사와 관련해 언론을 이용하고 있다면서 "기자들이 말려들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연합뉴스) 이승관 이치동 특파원 humane@yna.co.krlc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