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대외 악재에 코스피가 연일 맥을 못추고 있지만 한전KPS와 우선주 등이 선방하고 있습니다. 이들 종목들이 하락장에도 강세를 보이고 있는 이유를 오상혁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급락장 속에서도 한전KPS의 상승세가 눈에 띄었습니다. 지난 18일 코스피가 60포인트 넘게 떨어지는 폭락장에서도 한전KPS는 0.35% 올랐고 이달들어서만 2%에 가까운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가 1700선으로 주저앉으며 10% 넘게 떨어진 것과 비교해도 상당히 선전한 것입니다. 이같은 상승세는 한국전력의 전기료 인상 기대감과 배당성향이 높다는 점이 주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윤희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 "(한전KPS) 배당수익률이 현재 주가에서도 4%가 나오니까요. 한동안 우리나라가 저금리기조가 유지된다는 가정하에보면 지금 주식을 갖고 있으면 최소한 4%에 주가 상승률을 더해서 이익을 볼 수 있는거죠." 우선주들의 선전도 두드러집니다. 고려포리머우선주와 동방아그로우선주, 한신공영우선주 등 14개의 우선주들은 폭락장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일제히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증시 전문가들은 우선주들의 급등이 증시가 불안해질 때마다 나타나는 일시적 현상이라고 지적합니다. 김성봉 삼성증권 시황분석팀장 "작년 하반기에 시장이 안 좋았을 때도 이러한 현상이 발생했었는데요. 학습효과라는 게 있잖아요. 과거에도 보면 이런 일이 생겼을 때 이런 종목들이 움직였다는 기대감이 반영해서 들어가게 되면 주가가 별 의미 없이 상한가를 치는 경우가 생기죠." 우선주는 의결권을 포기하는 대신 보통주 보다 많은 배당금을 받는다는 점 외에는 주가 급등 요인이 없어 일부 특정세력에 의한 주가 끌어올리기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고려포리머우선주는 하루 거래량이 8주에 불과했지만 보통주 572원의 1천10배인 57만8천원에 거래됐고 동방아그우선주도 보통주보다 약 78배 오른 51만4천원에 마감했지만 거래량은 단 23주에 그쳤습니다. 따라서 증시 전문가들은 단기 주가 흐름만 보고 실적 모멘텀이 없는 우선주와 같은 종목들을 추종매수하는 것보다는 실적 개선이 예상되는 기업들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WOW-TV NEWS 오상혁입니다. 오상혁기자 osh@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40세 노숙女, 대학 졸업 성공…올해의 우수졸업생 선정 ㆍ10살 소년이 가슴 수술을? ㆍ4살짜리 여자아이, 트랜스젠더가 된 사연 ㆍ이수경, 요트 위 빨간 비키니로 `섹시美` 넘치는 자신감 ㆍ`G컵녀` 정수정 걸그룹 데뷔.. 환상 몸매 주목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상혁기자 osh@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