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동 "저축銀 인수할 지주·보험사 있다"…금융지주 "또 떠넘기나" 난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위, 매각공고 앞두고 '압박'
금융권 "메리트 없는데…" 곤혹
금융권 "메리트 없는데…" 곤혹
영업정지된 솔로몬 한국 미래 한주 등 4개 저축은행 매각을 앞두고 금융당국과 금융회사들이 미묘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사진)이 24일 “저축은행 인수 의향이 있는 지주사와 보험사가 몇 군데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지만 금융회사들은 “정부가 또 저축은행을 떠넘기려 한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예보는 4개 저축은행에 대한 매각주관사와 회계자문사, 법률자문사를 각각 선정하고 이르면 6월 초 매각공고를 내기로 했다.
◆“저축은행 살 회사 몇 곳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경희대에서 열린 특강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예보가) 부실을 다 털어내고 넘겨주겠다는데 살 곳이 왜 없겠나”고 말했다. 그러면서 보험사를 거론했다. ‘지주사들도 있나’는 질문엔 “있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금융권에서는 김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을 일종의 ‘압박’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그는 지난해 1월3일 취임 직후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 어윤대 KB금융 회장, 김승유 당시 하나금융 회장 등을 잇따라 만나 ‘저축은행을 인수해 달라’고 요구했다. 사석에선 “정부가 부실을 모두 메워주는 만큼 저축은행을 인수하면 호박이 넝쿨째 굴러 들어오는 것과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정부의 의중을 읽은 회장들은 불과 며칠 뒤 “인수를 검토하겠다”고 입을 맞춘 듯 발언하기 시작했다. 이후 우리금융이 3월 삼화저축은행을 시작으로 11~12월엔 KB금융(제일저축은행) 신한금융(토마토저축은행) 하나금융(제일2, 에이스저축은행)을 잇따라 인수했다.
금융위의 올해 움직임은 작년과는 사뭇 다르다. 선제적이고 강력한 압박이 작동했던 작년과 달리 노골적인 인수 요구는 아직까지 감지되지 않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상층부에서는 금융지주 인수가 최선의 방안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며 “아직 매각 절차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않은 만큼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전했다.
◆“인수 메리트 전혀 없다”며 ‘눈치’만
지주사 등 금융회사들은 저축은행 구조조정의 불똥이 또다시 튈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일단 겉으로는 △주가에 악영향 △잠재부실 가능성 △주주들 반대 △영업전망 불투명 등의 이유를 들어 추가적인 인수는 어렵다며 선을 긋고 있다. 한 지주사 관계자는 “주주들이 반대하는 것은 물론 애널리스트들도 주가에 악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
주주 반대뿐만 아니라 인수한 뒤 추가로 드러날 수 있는 잠재 부실과 부진한 경영실적, 마땅한 비즈니스 모델이 없다는 점도 인수에 난색을 표하는 이유다. 실제로 4대 금융지주가 인수한 저축은행 가운데 우리금융저축은행(2억원 순이익)을 제외한 세 곳이 1분기(1~3월)에 40억~317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한 금융지주는 인수한 저축은행에 1000억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넝쿨째 굴러온 호박’이 아닌 ‘애물단지’로 전락한 셈이다.
또 다른 지주사 관계자는 “은행과의 연계 영업이 불가능한 데다 추가 부실에 대한 충당금 부담까지 있어 당분간 이익을 내기 힘든 구조”라며 “지금은 서로 눈치만 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인수 검토’ 의사를 밝힌 곳은 정부가 주인인 우리금융이 유일하다.
류시훈/장창민 기자 bada@hankyung.com
◆“저축은행 살 회사 몇 곳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경희대에서 열린 특강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예보가) 부실을 다 털어내고 넘겨주겠다는데 살 곳이 왜 없겠나”고 말했다. 그러면서 보험사를 거론했다. ‘지주사들도 있나’는 질문엔 “있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금융권에서는 김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을 일종의 ‘압박’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그는 지난해 1월3일 취임 직후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 어윤대 KB금융 회장, 김승유 당시 하나금융 회장 등을 잇따라 만나 ‘저축은행을 인수해 달라’고 요구했다. 사석에선 “정부가 부실을 모두 메워주는 만큼 저축은행을 인수하면 호박이 넝쿨째 굴러 들어오는 것과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정부의 의중을 읽은 회장들은 불과 며칠 뒤 “인수를 검토하겠다”고 입을 맞춘 듯 발언하기 시작했다. 이후 우리금융이 3월 삼화저축은행을 시작으로 11~12월엔 KB금융(제일저축은행) 신한금융(토마토저축은행) 하나금융(제일2, 에이스저축은행)을 잇따라 인수했다.
금융위의 올해 움직임은 작년과는 사뭇 다르다. 선제적이고 강력한 압박이 작동했던 작년과 달리 노골적인 인수 요구는 아직까지 감지되지 않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상층부에서는 금융지주 인수가 최선의 방안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며 “아직 매각 절차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않은 만큼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전했다.
◆“인수 메리트 전혀 없다”며 ‘눈치’만
지주사 등 금융회사들은 저축은행 구조조정의 불똥이 또다시 튈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일단 겉으로는 △주가에 악영향 △잠재부실 가능성 △주주들 반대 △영업전망 불투명 등의 이유를 들어 추가적인 인수는 어렵다며 선을 긋고 있다. 한 지주사 관계자는 “주주들이 반대하는 것은 물론 애널리스트들도 주가에 악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
주주 반대뿐만 아니라 인수한 뒤 추가로 드러날 수 있는 잠재 부실과 부진한 경영실적, 마땅한 비즈니스 모델이 없다는 점도 인수에 난색을 표하는 이유다. 실제로 4대 금융지주가 인수한 저축은행 가운데 우리금융저축은행(2억원 순이익)을 제외한 세 곳이 1분기(1~3월)에 40억~317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한 금융지주는 인수한 저축은행에 1000억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넝쿨째 굴러온 호박’이 아닌 ‘애물단지’로 전락한 셈이다.
또 다른 지주사 관계자는 “은행과의 연계 영업이 불가능한 데다 추가 부실에 대한 충당금 부담까지 있어 당분간 이익을 내기 힘든 구조”라며 “지금은 서로 눈치만 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인수 검토’ 의사를 밝힌 곳은 정부가 주인인 우리금융이 유일하다.
류시훈/장창민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