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가 최고에 달했던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 레저산업은 호황을 맞이했다. 버블(거품)이 꺼진 후 20년이 지난 지금, 당시 대표적 놀이 시설이었던 실내 스키장이나 거대 미로, 테마파크는 어떻게 됐을까.
25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의하면 대부분이 경영난으로 문을 닫거나 대형 상업 시설로 탈바꿈했다. 지방에 위치한 시설은 인수자를 찾지 못해 폐허가 됐다.
지바현 후나바시에 위치한 스웨덴 가구 전문점인 '이케아' 1호점. 이곳은 원래 실내 스키장인 '자우스'가 있던 자리였다. 당시 일본은 1987년 방영된 영화 ‘나를 스키에 데려가줘’로 스키 붐이 절정에 달했다.
1993년 개장한 자우스는 1년 내내 스키와 스노보드를 즐길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 스키장이었다. 400억 엔을 투자해 만든 거대 시설은 2002년 영업 부진으로 폐장했다. 연간 평균 130만 명이 다녀갔지만 마지막 해 이용객은 절반에도 못미치는 60만 명수준이었었다. 지바현 쓰다누마에 있던 또 다른 실내 스키장도 1997년 문을 닫았고 그 자리엔 쇼핑센터가 들어섰다.
1980년대 후반 전국적으로 폭발적 인기를 얻은 거대 '미로 시설' 또한 사정은 마찬가지다.
총 면적 8300㎡(약 2510평)로 당시 일본 최대 미로 시설이었던 ‘랜즈보로 미로 라라포토 미로’는 1987년 만들어져 3년 만에 문을 닫았다. 거대 미로 시설이 뜨거운 인기를 얻자 경쟁이 격화됐고 급속하게 시설이 증가하면서 인기가 떨어진 것이었다.
도시에 있던 초대형 미로 시설은 상업이나 공공 시설로 바뀌었다. 요코하마의 미로 시설이 위치했던 장소는 쇼와대학 병원으로 변했다. 교토의 미로 시설이 철거된 자리엔 가정용품 잡화점이 들어섰다.
테마파크는 어떨까.
버블경제 시기 막대한 돈이 투입돼 전국 각지에는 외국풍 시설이 잇따라 탄생했다. 당시 개업한 테마파크 가운데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은 50%도 채 안된다. 니가타현의 러시아 마을은 2004년 문을 닫았고, 씨가이아나 하우스텐보스, 스페이스 월드마도 경영난으로 줄줄이 도산했다.
특히 도쿄 디즈니랜드와 함께 큰 인기를 얻었던 나가사키현의 네덜란드 마을 '하우스 텐보스'는 계속되는 경영난으로 2003년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부채 총액은 약 2200억 엔. 1992년 2250억 엔을 투자해 문을 연 하우스 텐보스는 1996년부터 입장객이 감소했다. 버블 붕괴로 테마파크 내 조성한 1억 엔 이상의 분양 별장이 팔리지 않은 것도 적자 누적의 주 원인이었다.
문을 닫은 다른 테마파크들은 결혼식장이나 쇼핑센터로 이용됐다. 하지만 대부분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아 폐허가 됐고 새로운 시설로 다시 이용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업계 관계자는 "1980년대 테마파크들이 잇따라 생겨났지만 세심한 기획이 결여돼 방문객 입장에선 똑같은 내용에 식상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라고 도산 배경을 설명했다.
한국의 경우 12개 테마파크의 입장객 수는 지난해 2433만 명으로 다소 회복됐지만 2003년 이후 줄곧 감소해왔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의 자료에 의하면 일본의 레저산업은 성장 후기를 맞고 있다. 기간별 레저시장 성장률을 보면 1980~1990년엔 연간 10.68% 성장했다. 하지만 1991~2000년에는 1.57%로 성장률이 크게 떨어졌다. 2000년 이후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다.
필리핀에서 뎅기열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모기를 잡아 오면 현상금을 주는 캠페인까지 등장했다. 뎅기열은 모기를 매개로 하는 열대 및 아열대성 전염병이다.20일(현지시간) AP통신은 필리핀 보건부 집계에 따르면 2월 초 기준 필리핀 내 뎅기열 감염 사례가 2만8234건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수치다.마닐라 인근 케손시티의 경우 1769명의 환자가 발생해 10명이 사망했고, 최근 9개 주요 지방자치단체에서 뎅기열 환자가 급증했다고 AP는 전했다.보도에 따르면 뎅기열 환자가 늘자 마닐라 인근 만달루용시의 애디션 힐스 지역에서는 모기를 잡아 오면 5마리당 1페소(한화 약 25원)를 주는 캠페인을 최근 시작했다. 이때 모기는 살아있든, 죽었든 상관없다.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양동이, 컵 등 갖가지 용기에 모기를 담아와 현상금을 받으려는 주민들이 마을회관 앞에 줄을 서는 등 반응이 나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다만, 일각에서는 이 캠페인 때문에 생계가 절박한 사람들이 모기를 키우는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공중보건 전문가 앤서니 리치온은 "모든 뎅기열 방지 정책을 환영하지만, 모기 현상금 캠페인은 효과가 거의 또는 전혀 없을 것"이라고 AFP 통신에 말했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올해 초 자국에서 처음 도입된 뉴욕의 혼잡통행료를 중단하라고 19일(현지시간) 명령했다.미국 교통부는 “뉴욕 통근자는 유류세와 기타 세금으로 고속도로 건설·유지 비용을 부담해왔다”며 이같이 지시했다. 뉴욕주는 출퇴근 시간대 맨해튼 60번가 남쪽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지난달 5일부터 혼잡통행료를 부과했다. 일반 승용차는 9달러, 트럭과 버스는 최대 21.6달러를 내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 “뉴욕이 구원받았다. 국왕 만세!”라고 적었다. 스스로 ‘왕’이란 표현을 사용한 것이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왕관을 쓴 이미지를 만들어 게시했다. 뉴욕주는 즉각 반발했다. 캐시 호컬 뉴욕 주지사가 뉴욕 그랜드센트럴터미널에서 패러디물을 들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임다연 기자
미국 스타벅스가 친환경 정책 일환으로 도입한 '퇴비컵'에 대해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20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매체 폭스 비즈니스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지난 11일부터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미시간 등 14개 주에서 일회용 투명 플라스틱 컵을 퇴비화가 가능한 컵으로 교체했다. 새로운 컵은 섬유질 종이와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제작됐으며 플라스틱 빨대 구멍이 있던 평평한 뚜껑은 돔 모양으로 교체했다.스타벅스는 컵 변경에 대해 지속가능성 목표를 향한 조치라며 "쓰레기를 줄이고 시장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스타벅스는 2030년까지 모든 컵을 퇴비화가 가능하거나 재활용 또는 재사용할 수 있는 컵으로 바꿀 전망이다.하지만 스타벅스의 컵 변경에 대해 소비자들은 불만을 표하고 있다. 미국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에는 "콜드폼을 빨아들이기 너무 힘들고 음료를 마시는 구멍도 너무 작다. 뚜껑에서 이상한 맛과 질감이 난다"는 내용의 댓글이 게재됐다.또 다른 이용자는 "(불투명한) 종이 디자인 때문에 내 메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소비자들에 불만에 대해 스타벅스 측은 모든 매장에서 새로운 컵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개인 컵을 가져오거나 매장 내에서 머그잔이나 유리컵으로 음료를 마실 수 있다고 해명했다.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