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민자부두 6개월째 불법봉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업무방해 중지' 판결도 무시
태영GLS, 月 3억원씩 적자
< 불법봉쇄 : 항운노조, 노무공급권 주장 >
태영GLS, 月 3억원씩 적자
< 불법봉쇄 : 항운노조, 노무공급권 주장 >
28일 오후 울산광역시 울산신항 남항의 태영GLS 민자부두. 항만 하역사인 태영GLS가 420억원을 투자해 작년 12월 문을 연 이곳은 6개월째 ‘개점 휴업’ 상태다. 일감이 없어 직원들은 240m에 이르는 텅 빈 부두를 돌며 기계 정비와 청소로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부두 입구에선 울산 항운노조원 10여명이 텐트를 친 채 하역 화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24시간 감시 중이었다.
울산 항운노조는 작년 12월 민자부두가 자체 인력으로 운영에 들어가려 하자 부두 봉쇄 등 실력행사에 들어갔다. 일제시대 때부터 관행적으로 허용해온 항만노조의 ‘100년 독점적 노무공급권’에 따라 자신들과 근로자 공급 계약을 맺지 않으면 운영을 허락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였다.
회사 측은 자구책으로 법에 호소했지만 노조의 ‘떼법’에는 속수무책이었다. 태영은 지난 3월 노조가 부두 내 화물 선적, 하역 업무를 방해하거나 출입을 방해하면 건당 1000만원까지 강제 집행할 수 있다는 법원 판결(출입금지 가처분 결정)을 받아냈다. 이는 주인이 있는 민자부두여서 항운노조와 종속적인 근로계약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노조의 방해 작업은 이후로도 끊이지 않았다. 지난달 10일에는 모 해운회사의 펄프 9900을 하역하려다 노조의 방해로 무산됐다. 이날 노조원 15명은 하역장 앞바다에서 보트를 타고 시위를 벌였고, 5명은 다이버 복장을 하고 바다에서 선박 입항을 방해했다. 울산 항운노조는 전체 970여명의 노조원 중 700여명을 동원, 해상 시위에 나서 한동안 울산 전체 항만 물류가 마비 상태에 빠지기도 했다.
노조 "100명 고용하라" 생떼…"전국항만 세우겠다" 협박
조정한 태영GLS 민자부두 상무는 “교섭 대상도 아닌 항운노조와 갈등을 빚으면서 해외 선사와 화주들도 부두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며 “월 3억원씩 적자를 보고 있어 이대로 가면 폐업이 불가피하다”고 하소연했다.
태영GLS 민자부두를 활용했던 한국제지 온산공장은 원료인 펄프와 전분을 제때 공급받지 못해 생산 차질이 빚어지자 지난 1일 태영과 계약을 해지했다. 이로 인한 매출 손실만 연간 30억원에 이른다.
현지 선사와 선박대리점 업계는 “울산항 하역요금이 다른 지역에 비해 10~20% 정도 비싼 상황에서 대형 야적장을 갖춘 민자부두인 태영 부두가 봉쇄돼 항만 이미지 저하는 물론 울산항의 경쟁력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민자부두 봉쇄가 장기화되자 인근 온산국가공단 내 산업체들로 불똥이 튀고 있다. 이 지역의 한 플랜트 업체 관계자는 “울산 항만 마비를 우려하는 선박들이 울산 대신 부산에서 하역하려는 바람에 육상운송에 이전보다 배 이상의 비용을 물고 있다”고 전했다.
노조는 “태영GLS는 민자부두로는 처음 항운노조의 노무 공급을 거부한 사례인 만큼 전국 항만 물류를 세워서라도 저지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다.
태영 측도 “노조가 하역에 대해 일괄 도급을 주든지, 아니면 100여명의 상시 고용을 요구하고 있다”며 “평균 연봉이 7000만원대에 이르는 등 노임이 과다하게 비싼 노조의 노무 공급 계약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정부와 정치권의 ‘노조 눈치보기’와 기업 압박 정서도 사태 해결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중재에 나서야 할 울산항만청의 주무과장은 최근 태영을 찾아가 “회사가 윈치(하역장비 운용인력) 등을 직접 고용하면 다른 하역회사에도 도미노처럼 영향을 미쳐 하역질서가 무너질 수 있다”며 사실상 항운노조의 노무공급권 인정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태영 측은 “지난달 울산 항운노조 대의원대회에 참석한 새누리당 비례대표 당선자 최봉홍 전국 항운노련 위원장이 ‘태영부두를 국가 귀속(소유)으로 바꾸겠다’고 주장한 것도 협상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부두 입구에선 울산 항운노조원 10여명이 텐트를 친 채 하역 화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24시간 감시 중이었다.
울산 항운노조는 작년 12월 민자부두가 자체 인력으로 운영에 들어가려 하자 부두 봉쇄 등 실력행사에 들어갔다. 일제시대 때부터 관행적으로 허용해온 항만노조의 ‘100년 독점적 노무공급권’에 따라 자신들과 근로자 공급 계약을 맺지 않으면 운영을 허락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였다.
회사 측은 자구책으로 법에 호소했지만 노조의 ‘떼법’에는 속수무책이었다. 태영은 지난 3월 노조가 부두 내 화물 선적, 하역 업무를 방해하거나 출입을 방해하면 건당 1000만원까지 강제 집행할 수 있다는 법원 판결(출입금지 가처분 결정)을 받아냈다. 이는 주인이 있는 민자부두여서 항운노조와 종속적인 근로계약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노조의 방해 작업은 이후로도 끊이지 않았다. 지난달 10일에는 모 해운회사의 펄프 9900을 하역하려다 노조의 방해로 무산됐다. 이날 노조원 15명은 하역장 앞바다에서 보트를 타고 시위를 벌였고, 5명은 다이버 복장을 하고 바다에서 선박 입항을 방해했다. 울산 항운노조는 전체 970여명의 노조원 중 700여명을 동원, 해상 시위에 나서 한동안 울산 전체 항만 물류가 마비 상태에 빠지기도 했다.
노조 "100명 고용하라" 생떼…"전국항만 세우겠다" 협박
조정한 태영GLS 민자부두 상무는 “교섭 대상도 아닌 항운노조와 갈등을 빚으면서 해외 선사와 화주들도 부두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며 “월 3억원씩 적자를 보고 있어 이대로 가면 폐업이 불가피하다”고 하소연했다.
태영GLS 민자부두를 활용했던 한국제지 온산공장은 원료인 펄프와 전분을 제때 공급받지 못해 생산 차질이 빚어지자 지난 1일 태영과 계약을 해지했다. 이로 인한 매출 손실만 연간 30억원에 이른다.
현지 선사와 선박대리점 업계는 “울산항 하역요금이 다른 지역에 비해 10~20% 정도 비싼 상황에서 대형 야적장을 갖춘 민자부두인 태영 부두가 봉쇄돼 항만 이미지 저하는 물론 울산항의 경쟁력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민자부두 봉쇄가 장기화되자 인근 온산국가공단 내 산업체들로 불똥이 튀고 있다. 이 지역의 한 플랜트 업체 관계자는 “울산 항만 마비를 우려하는 선박들이 울산 대신 부산에서 하역하려는 바람에 육상운송에 이전보다 배 이상의 비용을 물고 있다”고 전했다.
노조는 “태영GLS는 민자부두로는 처음 항운노조의 노무 공급을 거부한 사례인 만큼 전국 항만 물류를 세워서라도 저지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다.
태영 측도 “노조가 하역에 대해 일괄 도급을 주든지, 아니면 100여명의 상시 고용을 요구하고 있다”며 “평균 연봉이 7000만원대에 이르는 등 노임이 과다하게 비싼 노조의 노무 공급 계약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정부와 정치권의 ‘노조 눈치보기’와 기업 압박 정서도 사태 해결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중재에 나서야 할 울산항만청의 주무과장은 최근 태영을 찾아가 “회사가 윈치(하역장비 운용인력) 등을 직접 고용하면 다른 하역회사에도 도미노처럼 영향을 미쳐 하역질서가 무너질 수 있다”며 사실상 항운노조의 노무공급권 인정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태영 측은 “지난달 울산 항운노조 대의원대회에 참석한 새누리당 비례대표 당선자 최봉홍 전국 항운노련 위원장이 ‘태영부두를 국가 귀속(소유)으로 바꾸겠다’고 주장한 것도 협상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