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35 주문국가 유인전술형 시뮬레이터로 평가"

차기전투기 국외 시험평가에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겠다는 논란과 관련, F-35를 제안한 미국의 록히드마틴은 8일 "한국이 실제 F-35를 비행해 볼 수는 없다"고 공식 확인했다.

록히드마틴은 연합뉴스 기자 질문에 대한 답변 자료를 통해 "한국과 같은 잠재적 운용 국가들은 미군과 F-35 국제협력국, 운용국들이 탑승한 것과 유사한 고성능 유인전술형 시뮬레이터(Manned Tactical Simulator)를 탑승, 운용해 볼 수 있다"면서 그같이 밝혔다.

이 회사는 "이 시뮬레이터는 4대의 F-35가 공중이나 지상의 복합적 위협체계에 맞서 함께 비행하고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라면서 "미 공군과 해군, 해병대를 비롯한 여러 국가의 조종사들이 광범위하게 사용해왔다"고 말했다.

록히드마틴은 "이 시뮬레이터가 F-35의 성능 평가에 최적의 도구임을 검증했다"면서 "F-35로 기종을 결정하고 주문한 모든 국가들은 유인전술형 시뮬레이터를 통해 F-35의 성능을 평가했다"고 전했다.

록히드마틴은 "F-35 잠재 운용국들은 미 공군 및 록히드마틴의 시험비행 조종사와 F-35의 성능에 대해 논의하고, 비행 전과 후의 조종사 활동에 참여하며, 정비활동을 관찰 또는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방사청도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F-35 구매를 결정한 일본도 실제 비행기 탑승을 하지 못했다"면서 "시뮬레이터에 의한 평가만 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F-35의 탑승에 관한 것은 미 정부의 승인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운영유지비까지 합치면 10조원이 넘어가는 혈세가 투입되는 고성능 전투기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실제 비행 테스트를 하지 못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three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