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언론, 자국 겨냥한 금융제재 가능성 우려

중국 언론매체들이 이란산 원유를 수입하는 국가들을 상대로 금융제재의 칼을 빼든 미국에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중국 매체들은 자국법을 이유로 다른 나라를 제재하려는 미국에 반대한다는 '명분'을 내세우면서 금융제재가 결국 중국을 겨냥할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환구시보(環球時報)는 13일 "미국이 두 차례에 걸쳐 이란산 원유 수입에 따른 금융제재 예외 적용 국가를 발표했고 그 명단에 중국이 빠진 걸 주목해야 한다"며 "이는 미국의 중국 고립 전략"이라고 썼다.

이 신문은 중국이 그동안 미중 관계를 의식해 이란의 '원유 저가 공급' 제의마저도 거절해왔지만, 미국의 금융제재 예외 적용국가에 들지 못했다면서 미국의 이란 제재가 현실화하면 미중 관계에도 험로가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미국은 작년 말 국방수권법 재개정을 통해 이란산 원유 수입국들에 대한 금융제재를 법제화했고 올해 들어 이를 바탕으로 해당 국가들에 수입 중단 또는 대폭 감소를 요청해왔다.

미국은 그러고서 지난 3월 '실적'이 두드러진 유럽연합(EU) 소속 10개국과 일본을, 이어 지난 12일 인도, 말레이시아, 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스리랑카, 터키, 대만 등 7개국을 예외 적용 국가로 발표했다.

그러나 예외 적용국가는 대부분 미국의 동맹이라며 명단 작성에 불순한 의도가 있다는 게 중국 내 대체적인 시각이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와 관영 신화통신 등도 이란산 원유 수입국들에 대한 금융제재가 오는 28일부터 시작될 것이고 최대 수입국인 중국을 곧바로 치게 될 것이라고 걱정했다.

인민일보는 미국의 예외 적용 국가 명단에 중국이 제외된 것은 앞으로 이란 핵 문제로 충돌할 수밖에 없는 '미래'를 알리는 일종의 복선이라는 견해도 내놨다.

오는 18~19일 모스크바에서의 'P5+1'(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과 독일)과 이란 간 협상을 앞두고 중국은 이미 러시아와 더불어 서방의 해법에 반대한다고 분명하게 밝힌 데 대해 이번에 미국이 중국에 대해 금융제재 카드도 쓸 수 있다는 암시를 했다는 얘기다.

앞서 중국 외교부의 류웨이민(劉爲民) 대변인은 12일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은 미국이 국내법을 이유로 (다른 나라를) 일방적으로 제재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류 대변인은 그러면서 정당성을 역설했다.

중국은 투명하면서 정상적인 절차로 이란산 석유를 사오고 있고 유엔 안보리의 이란 관련 결의도 위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중국과 이란 간의 합법적인 석유 거래에 대해 미국에 그 실상을 알렸다고도 했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이란 핵 문제를 두고 중국이 반(反) 서방 해법 카드를 꺼낸 데 대해 미국이 금융제재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이와 관련한 미중 갈등이 조만간 현실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인교준 특파원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