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 성장이 조화를 이루는 이른바 ‘녹색경제(Green Economy)’가 국제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올랐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20일 개막한 유엔지속가능발전정상회의(리우+20)에선 세계 각국이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한 녹색경제로 산업구조 등을 전환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를 시작했다.

22일까지 사흘간 열리는 ‘리우+20’회의에는 이명박 대통령을 비롯한 세계 190여개국 정상과 정부 대표, 유엔 등 국제기구 수장, 비정부기구(NGO) 대표, 재계 및 학계 인사 등 5만여명이 참석했다.

유엔지속가능발전정상회의는 1992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첫 회의(리우-92)가 열린 이후 10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리우-92’는 지속 가능 발전을 국제사회의 비전인 ‘아젠다 21’로 채택했다. 지속 가능 발전은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조화로운 발전을 꾀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2002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된 정상회의(리우+10)에서는 지속 가능 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빈곤, 물, 위생 등 분야별 세부 이행 계획을 마련했다. ‘리우+20’은 ‘리우-92’ 20주년을 맞아 지속 가능 발전을 실질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녹색경제’를 의제로 채택했다. 녹색경제는 기후 변화의 주범인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사회적 통합을 지향하는 새로운 경제모델이다.

각국은 녹색경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놓고 선진국과 개도국 간에 견해 차가 존재한다. 선진국은 녹색경제를 위한 국제사회의 공동 책임과 참여를 강조한다. 하지만 개도국은 차등 책임론을 내세운다. 성장 과정에서 이미 환경을 훼손한 선진국이 더 많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얘기다.

이 대통령은 ‘리우+20’ 개막식 기조연설 등을 통해 한국의 녹색성장 경험과 우수 사례를 적극 알려 녹색경제 논의를 주도할 계획이다. 한국은 특히 개도국의 녹색성장을 돕는 ‘녹색 공적개발원조(녹색ODA) 이니셔티브’를 소개한다.

‘리우+20’ 정상회의 마지막 날에는 사흘간의 논의 결과를 압축한 ‘우리가 원하는 미래(The Future We Want)’라는 선언문을 채택할 예정이다. 그러나 ‘리우+20’ 정상회의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 등 주요국 정상들이 참석하지 않아 구체적인 성과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 리우+20

유엔 주도로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의 환경회의인 유엔지속가능발전정상회의. 1992년 첫 회의가 리우에서 열린 지 20년 만에 열리는 회의라는 의미다. 이번 회의 주제는 녹색경제다.

리우데자네이루=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