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한국 위상 높인 '리우회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녹색경제는 지속발전 위한 동력…선진국-개도국 공조 이끌어야
유복환 < 녹색성장위원회 단장 >
유복환 < 녹색성장위원회 단장 >
‘우리가 원하는 미래(The future we want).’ 지난 20일부터 3일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 지속가능발전 정상회의(리우+20)’의 주제다.
리우 유엔 정상회의 20주년을 맞아 전 세계 190여개국 지도자와 국제기구, 시민사회, 산업계, 학계 등에서 5만여명이 모여 전 지구적 미래와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집단지성의 향연을 벌였다.
돌이켜 보면 첫 회의가 열린 1992년의 지속가능발전은 우리에게 생소한 개념이자 위기였다. 이미 1980년대부터 환경문제에 대비해 온 선진국과 아직은 먹고사는 문제가 더 급한 개발도상국의 틈바구니에서 뚜렷한 목소리를 내지 못한 채 국제적인 논의의 장 뒷줄로 물러서 있었다.
그러나 20년이 지난 ‘리우+20’ 회의에서 한국은 제일 앞줄에 서 있다. 한국이 2008년 새로운 국가비전으로 선언하고 추진해 온 ‘녹색성장’은 그동안 유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G20 등 국제사회의 지속가능발전 논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 왔고, 이번 리우+20의 핵심 의제로 ‘지속가능발전과 빈곤퇴치 관점에서의 녹색경제’가 채택되는 데 기여했다.
리우+20 협상 회의의 공동의장국으로,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그룹 간 조정에도 앞장서고 있다. 2010년 G20 서울정상회의, 올해 핵안보 정상회의 개최 등을 통해 쌓아온 글로벌 현안에 대한 중재능력이 발휘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세계 유일의 경험은 선진국과 개도국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리우+20 회의에서 협력안을 이끌어내는 가교역할을 담당하게 하는 자산이 됐다.
이런 우리나라의 변모는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정책적 결단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녹색성장’이 당장은 비용이 들고 성과가 불확실해 보일지라도, 세계적인 기후변화와 에너지 문제를 고려할 때 새로운 도약을 위한 신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는 인식 아래 선제적인 전략을 취한 것이다.
짧은 기간 내에 법과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는 한편 녹색산업을 육성하고 녹색생활을 확산시킬 인프라를 마련했다. 물론 녹색성장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인식과 초당적인 협력으로 관련 법률을 마련한 국회의 추진력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리우+20 회의를 앞두고 유엔환경계획(UNEP)이 발표한 보고서는 지난 20년간 지구환경 상태가 심각한 수준으로 악화된 것으로 평가했다. 녹색경제를 향한 국제사회 패러다임의 변화가 절실하다는 증거다. 녹색경제를 향한 국제사회의 공조를 위해 변화된 한국이 앞장서 나가야 할 것이다.
국내적으로 녹색성장 정책을 꾸준히 지속해가면서 구체적인 결실을 국제사회와 함께 나누는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과 시민단체, 국민 모두가 함께 해야 가능한 일이다.
유복환 < 녹색성장위원회 단장 >
리우 유엔 정상회의 20주년을 맞아 전 세계 190여개국 지도자와 국제기구, 시민사회, 산업계, 학계 등에서 5만여명이 모여 전 지구적 미래와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집단지성의 향연을 벌였다.
돌이켜 보면 첫 회의가 열린 1992년의 지속가능발전은 우리에게 생소한 개념이자 위기였다. 이미 1980년대부터 환경문제에 대비해 온 선진국과 아직은 먹고사는 문제가 더 급한 개발도상국의 틈바구니에서 뚜렷한 목소리를 내지 못한 채 국제적인 논의의 장 뒷줄로 물러서 있었다.
그러나 20년이 지난 ‘리우+20’ 회의에서 한국은 제일 앞줄에 서 있다. 한국이 2008년 새로운 국가비전으로 선언하고 추진해 온 ‘녹색성장’은 그동안 유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G20 등 국제사회의 지속가능발전 논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 왔고, 이번 리우+20의 핵심 의제로 ‘지속가능발전과 빈곤퇴치 관점에서의 녹색경제’가 채택되는 데 기여했다.
리우+20 협상 회의의 공동의장국으로,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그룹 간 조정에도 앞장서고 있다. 2010년 G20 서울정상회의, 올해 핵안보 정상회의 개최 등을 통해 쌓아온 글로벌 현안에 대한 중재능력이 발휘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세계 유일의 경험은 선진국과 개도국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리우+20 회의에서 협력안을 이끌어내는 가교역할을 담당하게 하는 자산이 됐다.
이런 우리나라의 변모는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정책적 결단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녹색성장’이 당장은 비용이 들고 성과가 불확실해 보일지라도, 세계적인 기후변화와 에너지 문제를 고려할 때 새로운 도약을 위한 신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는 인식 아래 선제적인 전략을 취한 것이다.
짧은 기간 내에 법과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는 한편 녹색산업을 육성하고 녹색생활을 확산시킬 인프라를 마련했다. 물론 녹색성장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인식과 초당적인 협력으로 관련 법률을 마련한 국회의 추진력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리우+20 회의를 앞두고 유엔환경계획(UNEP)이 발표한 보고서는 지난 20년간 지구환경 상태가 심각한 수준으로 악화된 것으로 평가했다. 녹색경제를 향한 국제사회 패러다임의 변화가 절실하다는 증거다. 녹색경제를 향한 국제사회의 공조를 위해 변화된 한국이 앞장서 나가야 할 것이다.
국내적으로 녹색성장 정책을 꾸준히 지속해가면서 구체적인 결실을 국제사회와 함께 나누는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과 시민단체, 국민 모두가 함께 해야 가능한 일이다.
유복환 < 녹색성장위원회 단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