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 구매량 감축 인정…싱가포르도 인정"

미국 정부는 28일(현지시간) 중국과 싱가포르 등 2개국을 이란산 원유수입에 따른 금융제재의 예외 적용국가로 인정키로 했다고 밝혔다.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중국과 싱가포르가 이란산 원유 구매량을 상당히 감축한 것으로 판단했다"면서 "이에 따라 이들 국가에 대해 국방수권법에 따른 제재를 180일간 적용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의회에 통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미 정부가 지정한 이란제재법 예외적용 국가는 지난 3월 유럽연합(EU) 10개국과 일본을 시작으로, 이달초 한국 등 7개국에 이어 모두 20개국으로 늘어나게 됐다.

미 정부는 중국이 이란으로부터 편법으로 원유를 계속 수입하고 있다는 지적 등을 감안해 예외 적용국가 명단에 포함시키지 않았으나 금융제재 시행일인 이날 예외를 인정키로 했다고 전격 발표했다.

클린턴 장관은 "이들 20개 국가는 이란 정부에 대해 국제 핵의무를 위반하는 것이 엄청난 경제적 비용을 초래한다는 점을 확인시켰다"면서 "특히 유럽연합(EU)이 다음달부터 이란산 원유 수입금지 조치를 시행키로 함에 따라 이란의 지도자들은 그들이 직면한 선택을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우리는 이란에 대해 글로벌 경제에 다시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려있다는 점을 계속 밝혀왔다"면서 "이란 지도자들은 'P5+1'(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과 독일)과의 협상에 진지하게 참여함으로써 국제적인 우려를 불식시킬 기회가 있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하지 못할 경우 이란은 국제사회로부터 지속적인 압력과 고립을 당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워싱턴연합뉴스) 이승관 특파원 huma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