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 석 달을 넘긴 대형마트·기업형슈퍼마켓(SSM) 영업 규제가 불황에 따른 소비 위축과 맞물려 해당 업체 매출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의무휴업일을 지정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이 늘어나 월 2회 일요일에 휴무하는 점포가 증가하면서 매출 감소폭도 커지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지난달 매출은 기존점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4.8% 줄어들었다. 전달 4.0% 감소에 이어 두 달 연속 마이너스다. 올 2분기(4~6월) 매출도 3.8% 감소했다. 홈플러스도 지난 5월 6.4% 감소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9.1% 줄어들었다. 2분기 매출은 5.5% 감소했다. 롯데마트도 지난 5월 2.6%, 지난달 5.1% 각각 줄어들었고, 2분기 매출도 2.6% 감소했다. 대형마트 3사의 분기 매출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 위기 여파로 소비가 위축된 2009년 3분기 이후 11분기 만에 처음이다.

○휴무일 낀 주말 매출 30% 감소

대형마트를 ‘마이너스 성장’에 빠뜨린 것은 강제 휴무 점포 증가에 따른 매출 손실이다. 대형마트 휴무 점포수는 지난 4월13일 2곳에서 계속 증가해 지난달 24일엔 전체 점포의 76%인 282곳으로 늘었다. 대형마트들은 휴무일 매출이 전날이나 다음날로 옮겨가는 분산효과가 적어 타격이 더욱 컸다고 설명했다. 휴무일 대신 토요일이나 월요일에 쇼핑하는 소비자들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이마트는 144개 점포 중 103개 점포가 쉰 지난달 24일 매출이 전년 대비 71% 감소한 반면 전 점포가 영업한 전날(23일) 매출은 3.6% 증가했다. 23~24일 합산 매출은 35% 감소했다. 홈플러스도 129개 점포 중 109개 점포가 휴무한 24일 매출은 81% 감소한 반면 전날인 23일엔 3.1% 증가에 그쳐 주말 매출은 37% 줄었다. 이마트 관계자는 “휴무일 매출의 60~70%는 다른 영업일로 옮겨갈 것으로 기대했지만 금요일과 월요일을 합쳐도 20~30%에 그쳤다”며 “휴무일 전후에 다양한 판촉행사를 펴고 있지만 효과가 신통치 않다”고 말했다.

대형마트 매출 손실은 고스란히 협력업체와 납품하는 농민, 입점상인들의 수입 감소와 시간제 근로자, 주말 아르바이트, 협력사 판촉사원 등의 일자리 축소로 이어지고 있다. 이마트 자체상표(PL) 과자를 생산·납품하는 미찌유통 관계자는 “지난 5월부터 발주량 감소로 매출이 15%가량 줄어들었다”며 “작년처럼 아르바이트생이나 일용직 주부사원을 추가 채용하는 것은 물 건너갔다”고 전했다. 대형마트 3사 근무인원은 영업규제 3개월 만에 4000개 이상 줄어든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재래시장 활성화 효과는 크지 않아

대형마트 등의 휴무로 재래시장 매출엔 큰 차이가 없거나 소폭 늘었다는 분석이다. 중소기업청 산하 시장경영진흥원은 지난달 10일 휴무한 대형마트·SSM 주변 1379개 중소 소매업체와 전통시장 404개 점포 매출을 조사한 결과 평균 매출이 전주(3일)보다 11.7%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규제대상이 아닌 농협 하나로마트·클럽과 일부 중대형마트, 백화점 식품관 등은 반사이익을 보고 있다.

하지만 대형마트 매출 감소분을 감안하면 전체 소비는 줄어들어 ‘소비 증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재래시장이나 하나로마트 등의 매출 증가분은 대형마트 매출 감소분의 30~40% 정도”라며 “강제 휴무는 상당수 소비자들이 일요일 쇼핑을 포기하거나 건너뛰는 식으로 소비 위축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