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설의 '경영 업그레이드'] 성공의 쾌감을 상상하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 최고의 기업 GE에는 ‘아름다운 실패’ 프로젝트가 있다. 위험을 회피하기보다는 실패하더라도 도전하는 것을 좋은 시도로 인정하겠다는 방침이다. 경영자들도 ‘실패에서 배운다’는 말을 자주 한다. 그러나 이건 대기업에서나 좀 통하는 얘기일 뿐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되는 기업에선 괜히 도전해서 크게 실패하기 보다는 현상유지에 만족하면서 오래 근무하는 게 낫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훨씬 많다. 모그룹 부회장 출신의 이 말을 들어보라. “임원이 되면 큰 잘못이 없는 한 2, 3년에 한 직급씩 승진해요. 전무 부사장 사장까지 간다면 억대 임원급여를 10년도 받을 수 있어요. 그걸 한 번에 놓칠 수도 있는 위험한 일을 누가 하겠어요.”
최고경영자의 입장에서나, 외부에서 보면 이것이야말로 ‘대기업병’이지만 개인으로선 어쩌면 자연스런 선택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대기업들은 이런 병폐를 고치기 위해 도전하라고 부추기고 또 실패에도 상을 주는 인센티브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노력한다.
생존 창업에서 실패는 나락
분명히 알아둬야 할 것은 이제 막 창업하는 회사엔 ‘아름다운 실패’란 있을 수 없다는 엄연한 사실이다. 특히 요즘같이 모방이 쉽고 자원을 간단히 끌어 모을 수 있는 환경에서는 한번 실패하면 그 업종이나 상품에서는 사실상 퇴출되는 것으로 봐야 한다. IT벤처업계에서는 최초 진입자(first mover)가 고생고생하다 실패하면 나중에 온 사람들이 그 과실을 따먹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니 이제 창업의 길에 들어선 사람이라면 절대 실패하지 않을 각오부터 하는 게 낫다. 말이 쉽지 방법은 간단치 않다. 실패를 두려워하면 할수록 움츠러들어 자본을 투입하지 못하고 시장장악 기회를 놓쳐 실패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격적으로 경영하면서도 반드시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는 이유다. 그 방법은 미리 성공한 미래상을 스스로에게 각인시키는 데 있다.
이미 기업을 일궜으면서도 끊임없이 도전하는 사업가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게 있다. 바로 ‘성공의 쾌감’이다. 아무리 어려워도 예전에 성공했던 때의 기억을, 그리고 온 몸으로 느끼던 그때의 쾌감을 떠올릴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자신감이 생긴다고 한다.
미래상 먼저 그릴 수 있어야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시크릿》이 강조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자신이 원하는 미래상을 버릇처럼 늘 갖고 있으면 그것이 우주의 ‘끌어당김의 힘(law of attraction)’과 연계돼 성공을 부른다고 주장한다.
미래에 이루고 싶은 상태(to be)를 그려놓고 그것과 현재의 모습(as is)을 비교하면 간극은 클 수밖에 없다. 그것을 메우려고 노력하는 것이 바로 전략이고 경영인 것이다.
최근 생계형 창업을 비롯해 자기 사업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 정부 지원금을 구하는 것도 쉬워 창업은 계속 증가할 것이다. 내 돈이든 남의 돈이든 한 푼이 귀한 것을 알고 목숨 걸고 지키려는 자세가 중요하다. 괜히 일 벌였다 가계 전체가 나락으로 빠지는 일은 막아야 한다.
성공 안 해 본 사람이라고 해서 걱정할 것이 없다. 3년쯤 뒤의 성공한 모습을 머리와 마음 속에 넣을 수 있으면 된다. 성공해서 스스로 만세를 부르는 모습을 상상해보라. 명확하게 떠올리고 그때의 심정이 돼서 그 성공의 쾌감을 느껴보자. 실패는 떠올리지도 말라. 이미 성공한 사장처럼 자신감을 얻게 될 것이다.
권영설 편집국 미래전략실장·한경아카데미 원장
yskwon@hankyung.com
어느 정도 규모가 되는 기업에선 괜히 도전해서 크게 실패하기 보다는 현상유지에 만족하면서 오래 근무하는 게 낫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훨씬 많다. 모그룹 부회장 출신의 이 말을 들어보라. “임원이 되면 큰 잘못이 없는 한 2, 3년에 한 직급씩 승진해요. 전무 부사장 사장까지 간다면 억대 임원급여를 10년도 받을 수 있어요. 그걸 한 번에 놓칠 수도 있는 위험한 일을 누가 하겠어요.”
최고경영자의 입장에서나, 외부에서 보면 이것이야말로 ‘대기업병’이지만 개인으로선 어쩌면 자연스런 선택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대기업들은 이런 병폐를 고치기 위해 도전하라고 부추기고 또 실패에도 상을 주는 인센티브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노력한다.
생존 창업에서 실패는 나락
분명히 알아둬야 할 것은 이제 막 창업하는 회사엔 ‘아름다운 실패’란 있을 수 없다는 엄연한 사실이다. 특히 요즘같이 모방이 쉽고 자원을 간단히 끌어 모을 수 있는 환경에서는 한번 실패하면 그 업종이나 상품에서는 사실상 퇴출되는 것으로 봐야 한다. IT벤처업계에서는 최초 진입자(first mover)가 고생고생하다 실패하면 나중에 온 사람들이 그 과실을 따먹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니 이제 창업의 길에 들어선 사람이라면 절대 실패하지 않을 각오부터 하는 게 낫다. 말이 쉽지 방법은 간단치 않다. 실패를 두려워하면 할수록 움츠러들어 자본을 투입하지 못하고 시장장악 기회를 놓쳐 실패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격적으로 경영하면서도 반드시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는 이유다. 그 방법은 미리 성공한 미래상을 스스로에게 각인시키는 데 있다.
이미 기업을 일궜으면서도 끊임없이 도전하는 사업가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게 있다. 바로 ‘성공의 쾌감’이다. 아무리 어려워도 예전에 성공했던 때의 기억을, 그리고 온 몸으로 느끼던 그때의 쾌감을 떠올릴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자신감이 생긴다고 한다.
미래상 먼저 그릴 수 있어야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시크릿》이 강조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자신이 원하는 미래상을 버릇처럼 늘 갖고 있으면 그것이 우주의 ‘끌어당김의 힘(law of attraction)’과 연계돼 성공을 부른다고 주장한다.
미래에 이루고 싶은 상태(to be)를 그려놓고 그것과 현재의 모습(as is)을 비교하면 간극은 클 수밖에 없다. 그것을 메우려고 노력하는 것이 바로 전략이고 경영인 것이다.
최근 생계형 창업을 비롯해 자기 사업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 정부 지원금을 구하는 것도 쉬워 창업은 계속 증가할 것이다. 내 돈이든 남의 돈이든 한 푼이 귀한 것을 알고 목숨 걸고 지키려는 자세가 중요하다. 괜히 일 벌였다 가계 전체가 나락으로 빠지는 일은 막아야 한다.
성공 안 해 본 사람이라고 해서 걱정할 것이 없다. 3년쯤 뒤의 성공한 모습을 머리와 마음 속에 넣을 수 있으면 된다. 성공해서 스스로 만세를 부르는 모습을 상상해보라. 명확하게 떠올리고 그때의 심정이 돼서 그 성공의 쾌감을 느껴보자. 실패는 떠올리지도 말라. 이미 성공한 사장처럼 자신감을 얻게 될 것이다.
권영설 편집국 미래전략실장·한경아카데미 원장
yskw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