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아들아, 나는 이 나라가 자랑스럽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 7번째로 20-50클럽 가입
민주화와 세계화로 이뤄낸 성과
한민족의 충효가치 더욱 소중해
전성철 < 세계경영연구원 회장 scjunn@igm.or.kr >
민주화와 세계화로 이뤄낸 성과
한민족의 충효가치 더욱 소중해
전성철 < 세계경영연구원 회장 scjunn@igm.or.kr >
아들아, 대한민국이 드디어 ‘20-50 클럽’에 들어갔단다! 세계 역사상 일곱 번째로 인구 5000만명 이상, 국민소득 2만달러가 넘는 나라,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과 동급의 나라가 됐단다. 아빠는 무한히 자랑스럽다. 왜냐하면 아빠가 네 나이 때 물려받은 이 나라는 너무나 초라한 나라였기 때문이다. 1970년의 우리나라는 인구 3000만명을 갓 넘기고 국민소득은 300달러가 채 안 되는, 세계 120위권에 불과한 나라였다. 가난과 실업, 그리고 독재가 횡행하고 한탄과 저항이 범람하던 나라였다. 아빠는 그때 우리나라가 이렇게 세계 최고의 국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나라, 부유할 뿐 아니라 온 국민이 자유를 만끽하는 나라가 될 가능성은 꿈도 꾸지 못했다. 그 아득한 꿈을 우리 민족이 한 세대 만에 이룬 것이다. 어찌 자랑스럽지 않겠는가?
2차대전 이후 인구 몇 천만 명의 대국들 중 국민소득 1만달러 언저리까지 간 나라는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을 포함해 꽤 많았다. 그러나 그들 중 어느 하나도 2만달러 고비를 넘기지 못하고 꼬꾸라져 버렸다. 아들아! 그런데 우리만 유독 그 고비를 어떻게 넘길 수 있었을까? 나는 그것이 크게 보아 우리가 이룬 두 가지 대업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바로 민주화와 세계화라는 거대한 작업이었다. 역사적으로 진정한 민주화를 이루지 못한 나라가 선진국의 반열에 오른 예는 없었다. 2차대전 이전 민주화를 이루기 전의 일본이나 독일 같은 나라가 일시적으로 어느 정도까지 클 수는 있었어도 영속적인 선진국의 반열에 스스로를 올리지는 못했다. 그것은 첫째 민주주의만이 궁극적·장기적으로 나라의 궤도를 바로 잡아 줄 수 있기 때문이고 또 민주주의만이 국민 개개인이 가진 잠재력을 제대로 온전히 키워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4·19, 5·18, 6·29 등을 거치며 피와 눈물로 민주주의를 이뤄냄으로써 선진국의 토대를 닦을 수 있었던 것이다.
두 번째는 세계화다. 역사적으로 세계에 대해 개방하고 세계를 활동 무대로 삼지 않은 나라가 선진 대국으로 간 예는 없었다. 16세기 스페인 포르투갈, 17세기의 네덜란드, 18세기 이후의 영국, 그리고 20세기 현재 선진국의 반열에 올라 있는 모든 나라들이 다 세계로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세계에 대해 개방한 나라들이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경제 개발을 시작하면서부터 세계를 겨냥했고 멕시코 아르헨티나 등과 달리 국민소득 1만달러가 넘으면서 더 적극적으로 용감하게 세계로 나아갔을 뿐 아니라 스스로를 더 활짝 개방했다. 전 세계로 무시무시하게 유학을 나갔고 겁내지 않고 자유무역협정(FTA)도 했다. 역설적으로 외환위기마저 한몫했다. 한국은 안방에서, 그리고 세계 땅 끝까지 가서 세계 최고의 기업들과 경쟁하고 있고 그 처절한 싸움은 우리를 세계에 우뚝 선 경쟁력을 가진 나라로 만들어 주었다.
그렇다면 유독 한국만이 이런 과업을 이룰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 가지 시각이 있을 수 있겠지만, 나는 한국의 ‘가치중심적’ 민족성에서 그 근본 원인을 찾는다. 한국인은 가치를 중시한다. 전 세계 어느 나라를 봐도 부모가 돌아가셨다고 생업과 가족을 버리고 무덤 옆에 움막을 짓고 3년간 그 무덤을 보살피면서 효(孝)라는 가치를 추구한 민족은 없다. 민주주의라는 가치를 위해 젊은이들이 1960~1980년대 그렇게 총탄 앞에 몸을 던지고 그렇게 많이 분신자살을 한 나라는 없었다. 한국인은 열사의 사막에서 그 어느 민족도 하지 못한 대공사들을 해냈고 두려움 없이 세계로 나가 경쟁했다. 모두 가족, 충(忠), 애국 등의 가치가 아니면 설명할 수 없는 일들이다. 한마디로 한국 민족은 가치에 관한 한 독한 민족이다. 유대인이 그렇듯이!
아들아! 나는 내가 한국인으로 태어난 것이 자랑스럽다. 물질이 아니라 가치를 중시하는 민족의 한 사람으로 태어난 것이 자랑스럽다. 그 덕분에 이런 나라를 너희에게 물려주게 돼 더욱 자랑스럽다. 너는 더욱 위대한 나라를 만들어 너의 아들딸들에게 물려주게 되기를 바란다. 아빠가.
전성철 < 세계경영연구원 회장 scjunn@igm.or.kr >
2차대전 이후 인구 몇 천만 명의 대국들 중 국민소득 1만달러 언저리까지 간 나라는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을 포함해 꽤 많았다. 그러나 그들 중 어느 하나도 2만달러 고비를 넘기지 못하고 꼬꾸라져 버렸다. 아들아! 그런데 우리만 유독 그 고비를 어떻게 넘길 수 있었을까? 나는 그것이 크게 보아 우리가 이룬 두 가지 대업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바로 민주화와 세계화라는 거대한 작업이었다. 역사적으로 진정한 민주화를 이루지 못한 나라가 선진국의 반열에 오른 예는 없었다. 2차대전 이전 민주화를 이루기 전의 일본이나 독일 같은 나라가 일시적으로 어느 정도까지 클 수는 있었어도 영속적인 선진국의 반열에 스스로를 올리지는 못했다. 그것은 첫째 민주주의만이 궁극적·장기적으로 나라의 궤도를 바로 잡아 줄 수 있기 때문이고 또 민주주의만이 국민 개개인이 가진 잠재력을 제대로 온전히 키워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4·19, 5·18, 6·29 등을 거치며 피와 눈물로 민주주의를 이뤄냄으로써 선진국의 토대를 닦을 수 있었던 것이다.
두 번째는 세계화다. 역사적으로 세계에 대해 개방하고 세계를 활동 무대로 삼지 않은 나라가 선진 대국으로 간 예는 없었다. 16세기 스페인 포르투갈, 17세기의 네덜란드, 18세기 이후의 영국, 그리고 20세기 현재 선진국의 반열에 올라 있는 모든 나라들이 다 세계로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세계에 대해 개방한 나라들이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경제 개발을 시작하면서부터 세계를 겨냥했고 멕시코 아르헨티나 등과 달리 국민소득 1만달러가 넘으면서 더 적극적으로 용감하게 세계로 나아갔을 뿐 아니라 스스로를 더 활짝 개방했다. 전 세계로 무시무시하게 유학을 나갔고 겁내지 않고 자유무역협정(FTA)도 했다. 역설적으로 외환위기마저 한몫했다. 한국은 안방에서, 그리고 세계 땅 끝까지 가서 세계 최고의 기업들과 경쟁하고 있고 그 처절한 싸움은 우리를 세계에 우뚝 선 경쟁력을 가진 나라로 만들어 주었다.
그렇다면 유독 한국만이 이런 과업을 이룰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 가지 시각이 있을 수 있겠지만, 나는 한국의 ‘가치중심적’ 민족성에서 그 근본 원인을 찾는다. 한국인은 가치를 중시한다. 전 세계 어느 나라를 봐도 부모가 돌아가셨다고 생업과 가족을 버리고 무덤 옆에 움막을 짓고 3년간 그 무덤을 보살피면서 효(孝)라는 가치를 추구한 민족은 없다. 민주주의라는 가치를 위해 젊은이들이 1960~1980년대 그렇게 총탄 앞에 몸을 던지고 그렇게 많이 분신자살을 한 나라는 없었다. 한국인은 열사의 사막에서 그 어느 민족도 하지 못한 대공사들을 해냈고 두려움 없이 세계로 나가 경쟁했다. 모두 가족, 충(忠), 애국 등의 가치가 아니면 설명할 수 없는 일들이다. 한마디로 한국 민족은 가치에 관한 한 독한 민족이다. 유대인이 그렇듯이!
아들아! 나는 내가 한국인으로 태어난 것이 자랑스럽다. 물질이 아니라 가치를 중시하는 민족의 한 사람으로 태어난 것이 자랑스럽다. 그 덕분에 이런 나라를 너희에게 물려주게 돼 더욱 자랑스럽다. 너는 더욱 위대한 나라를 만들어 너의 아들딸들에게 물려주게 되기를 바란다. 아빠가.
전성철 < 세계경영연구원 회장 scjunn@igm.or.kr >